'AI 열풍' 예측 못한 AI펀드…美증시보다 수익률 저조

S&P500 9% 오를때 4%↑ 그쳐
매수 상위에 엔비디아·MS 없어
강세장에서만 투자 전략 '효과'
인공지능(AI)이 운용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투자자들 사이의 AI 투자 열풍엔 정작 올라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AI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빠른 속도로 커질지는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심리를 읽는 데는 아직 미숙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AI가 운용하는 ETF의 성과가 올해 S&P500지수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IBM의 인공지능인 왓슨 플랫폼을 활용해 투자 종목을 고르는 AI파워드에쿼티ETF(AIEQ)의 올해 수익률은 4%에 그쳤다.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9% 상승했다.운용자산(AUM) 규모가 1억8000만달러에 달하는 AIEQ는 약 150개의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주로 소프트웨어 기업과 기술주에 치우쳐 있다. 리조트업체 라스베이거스샌즈 등 소비주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매수 상위 10개 종목에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없었다.

AIEQ가 미국 증시와 상반된 추이를 보이는 배경엔 AI 열풍이 있다. 지난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챗 GPT 열풍이 거세지며 AI 관련 종목이 상승세를 탔다. AI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의 주가가 반등하며 S&P500지수도 큰 폭으로 치솟았다.

반면 AIEQ의 AI는 이들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리지 않았다. 금융 데이터업체 데이터트랙리서치의 제시카 레이브 대표는 “AI에 기반한 투자 알고리즘이 빅테크 상승세를 활용하지 못한 건 모순적인 상황”이라고 짚었다.AI의 투자전략이 강세장에서만 빛을 발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수개월간 상승세를 탄 종목을 대량 매수하는 모멘텀 전략을 선택해서다. 모멘텀 전략은 과거 상승세에 있는 종목은 그 추이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배팅하는 투자 전략이다. 3~12개월 주기로 과거 주가보다 현재 주가가 높은 종목을 매수한다. 이 때문에 AI는 과거 시장에서 등장하지 않은 ‘블랙스완’과 같은 사건이 발생했을 때 대응 능력이 부족할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AIEQ의 알고리즘을 개발한 에큐붓은 “(우리는)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매일 수백만 개의 뉴스와 SNS 게시물을 분석한다”며 “이를 통해 앞으로 투자심리가 어떻게 변할지를 내다본다”고 해명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