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2차전지 테마주' 편승 기업 걸러낸다… 사업 경과 기재 의무화"

2차전지·AI·로봇 테마 뜨자
너도나도 신규사업 추가
금감원 "실제 사업 진행 여부 등 따질 것"
금융감독원이 2차전지, 인공지능(AI), 로봇 관련주 등에 대해 감독을 대폭 강화한다. 최근 주식 시장에서 미래 신사업 테마로 부상해 투자 열풍이 분 분야다. 금감원은 실제로는 차세대 기술 기반 사업과 관계가 없는 기업들이 테마에 엮이기 위해 사업 목적을 허위로 작성했을 가능성 등을 보고 있다.

27일 금감원은 "2차전지 등 투자 주의가 필요한 사업 분야를 별도로 선별해 신규 사업 진행 경과 등에 대한 기재 사항을 중점 점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최근 2차전지주 투자 열풍이 불면서 테마주 열기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세력이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금감원은 허위로 2차전지 등 신규 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한 기업이 있는지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기존 주력 사업과 관계가 없는데도 테마주 관련 단어를 사업 목적에 넣은 종목이 대상이다.

금감원은 "주가 이상 급등, 대주주 등의 보유주식 매도, 실제 사업 진행 여부 등을 따질 것"이라며 "불공정거래 혐의가 있는 종목에 대해선 신속히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했다.

기업들이 정관에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신규 사업에 대해선 사업보고서, 분기·반기 보고서 등 정기 보고서에 진행 경과 기재를 의무화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를 위해 사업보고서 서식 개정 작업을 할 예정"이라며 "올 상반기 중 개정을 완료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특정 분기까지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면 미진행 사유도 공개해야 한다. 기존엔 정관상에 있는 사업이라도 내부 중요도, 기재시 불이익 가능성 등을 고려해 해당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고서 기재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주식 시장에서 2차전지, 챗GPT 등 AI, 로봇 테마가 뜨면서 작년부터 지난달까지 105개 상장사가 2차전지, AI, 로봇 관련 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했다. 이중 코스닥 상장사가 91개 사다. 절반가량인 54개 사가 2차전지 관련 사업을 추가했다.
세 투자 테마가 본격 부상한 올초부터 지난 3월까지 정관을 변경해 2차전지·AI·로봇 관련 사업 목적을 추가한 기업은 46개사에 달한다. 작년엔 59개사가 이들 미래성장 신사업을 사업 목적에 넣었다.금감원은 이중 미래 사업을 실제로 추진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데도 주가를 띄우기 위해 신규 사업에 진출하는 것처럼 꾸민 기업이 있을 가능성을 보고 있다. 실제 이같은 사례가 나오면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금감원은 "정관상 사업목적을 추가한 회사 중 정기보고서에 그 경과를 제대로 기재하지 않는 사례가 많아 투자자들이 신규사업의 진행 여부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며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공시 심사와 조사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금감원은 "테마주 투자 열기가 높아질수록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며 "정관상 사업 목적에 특정 사업이 추가됐다고 해서 그 사업이 실제로 추진돼 매출을 발생시키는 것이 보장되는 것은 아닌 만큼, 일반 투자자들이 기존 주력사업과의 연계성, 구체적 사업계획 수립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투자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