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상품 D램 고꾸라지자…반도체 수출액 '반토막' 났다

올 1~3월 수출액 분석해보니

1년새 45兆→27兆로 40% 급감
비중 큰 D램에서만 8兆 줄어
올 1분기 반도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8조원 급감한 가운데 이 중 43%에 육박하는 7조8000억원가량이 D램 수출에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D램 업황이 언제 회복되느냐에 따라 전체 수출은 물론 무역수지 회복 시기가 달라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3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1~3월 반도체 수출액은 205억6600만달러(약 27조4000억원)로, 전년 동기(343억300만달러·약 45조7000억원) 대비 40% 급감했다. 원화 환산 기준으로 18조3000억원 감소한 것이다.

반도체 중 D램(단품·모듈 합계) 수출액은 43억8469만달러(약 5조8400억원)로, 전년 동기(102억6699만달러·약 13조6700억원) 대비 60% 가까이 급감했다. D램 수출 감소액은 7조8300억원에 달한다.

D램과 낸드플래시를 혼용하는 MCP(복합구조칩 집적회로) 수출액도 D램 시황 악화로 전년 동기(75억7185만달러) 대비 절반가량 급감한 37억9033만달러에 그쳤다.낸드플래시의 올 1분기 수출액은 14억9372만달러로, 전년 동기(18억9755만달러) 대비 21% 줄었다. D램에 비해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반도체 감산을 공식 선언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보다 D램 감산에 적극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낸드플래시에 비해 D램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더 높다.

정부도 D램 업황이 회복돼야 수출 감소세가 멈출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1분기 수출액은 1516억달러로, 전년 동기(1735억달러) 대비 219억달러 감소했다. D램 수출 감소액(58억8230만달러)이 전체 수출 감소액의 27%를 차지한다.

강경민/김익환 기자 kkm1026@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