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민간 서비스업 경기도 6개월 만에 최고

차이신 서비스업 PMI 55.0

양회 내일 개막…'당정통합'의 시진핑 3기 공식 출정식
6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한 차이신 서비스업 PMI
중국 서비스부문 기업들의 2월 경기 전망이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매체 차이신은 시장조사업체 IHS마킷과 함께 조사하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월 55.0을 나타냈다고 3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9월(55.0) 이후 최고치다. PMI는 기업의 구매와 인사 등 담당자 설문으로 집계하며,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그 아래면 위축 국면임을 뜻한다. 차이신 서비스업 PMI는 지난해 10월 공산당 20차 당대회를 전후한 고강도 '제로 코로나' 방역에 50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1월 '위드 코로나' 전환 효과가 나타나면서 52.9로 상승했다. 이어 지난달에는 더 뛰었다.

차이신은 코로나19 감염이 잦아들고 서비스업 수요와 공급이 회복되면서 PMI 상승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서비스업은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53%를 차지했다. 올해 지도부가 내수 소비를 성장 동력으로 강조하면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더 커질 전망이다.

왕저 차이신 이코노미스트는 "방역 정책 전환 이후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경기 회복 기반이 아직 튼튼하지 않은 상태"라며 "가계 소득과 시장의 신뢰를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난 1일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공식 제조업·비제조업 PMI와 차이신 제조업 PMI도 회복세를 보였다. 공식 PMI는 대형 내수 국유기업 중심이며 차이신 민간 PMI는 수출기업과 중소기업도 포괄한다는 차이가 있다.

2월 공식 제조업 PMI는 52.6으로 2012년 4월 53.3 이후 거의 1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제조업(서비스업·건축업) PMI도 56.3으로 1월(54.4)보다 올라갔다. 2월 민간 제조업 PMI도 51.6으로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만에 50을 웃돌았다.

시장에선 중국 지도부가 오는 4일 개막하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구체적인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정 자문기구인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은 4일부터, 중국 헌법상 최고 권력기관이자 입법기구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5일부터 열린다. 이번 전인대에선 시진핑 3기 수뇌부 인선도 이뤄진다. 지난해 10월 당대회는 공산당 차원의 행사였으며 전인대는 국가급 이벤트다. 시 주석은 당대회에서 공산당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선임됐다. 이어 이번 전인대에서 국가주석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오를 것이 확실시된다.

2인자인 신임 국무원(정부) 총리는 시 주석 최측근인 리창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사실상 확정됐다. 부총리는 딩쉐샹·허리펑·류궈중·장궈칭 등 4명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와 함께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당정 조직 개편이다. 당의 우위에 바탕한 '당정통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대 지도자인 덩샤오핑이 개혁개방과 함께 제시한 '당정분리'에서 1대 마오쩌둥 시대의 '당정통합'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당정분리의 골자는 당이 인사를, 국무원이 집행을 담당하는 체제였다. 앞으로는 당이 국정 전면에 등장하는 사례가 많아질 전망이다. 경찰(공안)·방첩·대테러·이민·호적·교통 등의 업무를 통합해 관할하는 공산당 중앙 직속기구 '중앙내무위원회(가칭)'와 금융 부문을 총괄 관리·규제하는 중앙금융공작위원회가 각각 출범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TV와 라디오 방송 등을 총괄 관리하는 국무원 직속기구 국가광파전시총국을 당 중앙선전부로 통합한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현재의 국무원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HKMAO)을 공산당 중앙위원회 홍콩·마카오 공작판공실로 변경하고 해당 기관이 국무원이 아닌 당 중앙위원회에 직보하도록 하는 내용이 당정 조직 개편안에 포함된 것으로 홍콩 매체에 보도됐다.

5일 전인대 개막식에선 리커창 현 총리가 재임 중 마지막으로 하는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제시할 예정이다. 중국은 2022년 '5.5% 안팎'을 목표로 제시했다가 3.0% 성장에 그쳤다. 올해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5% 이상의 목표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 및 내수의 대대적 진작, 민간기업 및 플랫폼 기업 지원 등의 성장 전략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