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SK온, 인니에 니켈 합작공장 설립

국내 최대 양극재 업체인 에코프로그룹이 SK온과 손잡고,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이자 매장국인 인도네시아에 니켈 합작공장을 짓는다. 이번 합작공장 설립을 계기로 국내에서 황산니켈 및 전구체를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에코프로와 SK온과 중국 전구체 생산기업인 거린메이(GEM)는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3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니켈 및 코발트 수산화혼합물(MHP) 생산공장을 짓기로 했다.공장은 20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3만t에 해당하는 MHP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 43기가와트(GW), 전기차 기준 약 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3사는 술라웨시주 행자야 광산에서 니켈 산화광을 확보하고, 니켈 산화광을 원료로 MHP를 만들기 위해 고압산침출 제련 공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고압산침출 공정은 높은 온도와 압력 아래 니켈 원광으로부터 황산에 반응하는 금속을 침출하는 방식으로, 더욱 순도 높은 니켈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MHP 생산 경험이 있는 GEM에서 이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3사가 생산하는 니켈 중간재 MHP는 배터리용 전구체 생산에 사용되는 황산니켈의 주요 원료이기도 하다. MHP는 다른 중간재들보다 안정성이 높은데다 상대적으로 가격까지 저렴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황산니켈 생산 원료 중 MHP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24%에서 2030년 42%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3사는 이번에 확보한 MHP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황산니켈 및 전구체를 생산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SK온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한국에서 황산니켈을 조달해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투입하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요건 충족도 기대할 수 있다. IRA는 북미산 배터리 광물·부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박상욱 에코프로 부사장은 “글로벌 니켈의 수급이 중장기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SK온, GEM과 긴밀히 논의해 합작법인 설립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신영기 SK온 구매 담당은 “3사 협력은 글로벌 니켈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다양한 소재 기업들과 협력해 원소재 공급망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