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이젠 '주식 40-채권 60' 투자로 가야"

증시 변동성 심화에
'60-40' 투자서 선회
채권 투자 더 강화

국채·단기어음 조합땐
연 4~6% 수익 기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주식과 채권에 60 대 40 비중으로 투자하는 기존의 ‘60-40 투자법’을 주식 40%, 채권 60%로 바꾸라고 조언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이례적인 속도로 인상하면서 증시의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릭 라이더 블랙록 글로벌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 같은 조언과 함께 단기 채권을 눈여겨보라고 했다. 그는 “단기 채권시장이 부활했다. 국채와 단기 기업어음을 조합하면 4~6%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60-40 투자법은 전통적으로 월가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 비율로 여겨진다.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을 결합해 최적의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수조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기관투자가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월가에서는 ‘투자의 정석’처럼 여겨져 왔다.

블랙록이 채권 투자 비중을 40%에서 60%로 늘려야 한다고 조언한 이유는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근원 CPI도 치솟았다. 뉴욕증시는 9월 CPI가 발표된 직후 3%가량 하락했지만 장 중반 매수세가 몰려 상승 마감했다. 3대 지수가 나란히 2%대 오른 채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저점으로부터 무려 1500포인트 회복했다.라이더 CIO는 “내 생애 가장 미친 날”이라며 “증시 변동성이 극에 달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채권 투자자는 그동안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Fed의 금리 인상으로 상황이 바뀌었다”며 “양질의 수익이 있는 곳에 머물러야 한다”고 했다.

같은 날 미국 2년 만기 국채금리는 장중 연 4.5%를 넘어서 2007년 8월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