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탈중국화, IRA론 부족…美, '원산지 증명제' 도입 전망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전기차 배터리 '원산지 증명' 같은 제도를 도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김광주 SNE리서치 대표는 전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KABC 2022(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에서 "IRA의 실질적 경계 대상인 중국 자본을 공급망 관리(SCM)에서 완전히 제외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김 대표는 "리튬·망간 등 원자재 쪽은 호주, 칠레 같은 미국에 우호적인 지역에 분포돼 있지만 중국 자본들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셀과 전해액, 동박 같은 부분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광물의 광산 뿐 아니라 가공업체 대부분이 중국 회사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자재와 음극재처럼 시간이 지나도 IRA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IRA 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북미 지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배터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2027년에는 이 비율이 80% 이상으로 올라간다.배터리 부품의 경우 북미 지역에서 생산한 부품을 내년부터 50% 이상, 오는 2029년에는 100%를 사용해야 한다.

IRA 법안만으로는 배터리 공급망에서 완전한 '탈 중국화'가 사실상 어려워 '원산지 증명 제도'를 추가 도입해 그물망을 더 촘촘히 하겠다는 복안인 셈이다.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있어서 중국 기업들의 영향력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다.중국은 해외 광물을 수입해 정제하는 공급망을 탄탄히 구축해 전 세계 리튬의 60%, 코발트의 80%를 가공해 수출하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의 84%를 중국에서 수입한다.

세계 리튬 채굴량에서 중국의 비율은 13%에 불과하지만 정제 리튬 시장 점유율은 무려 60%에 육박한다. 자국의 저렴한 노동력, 세제 혜택 등을 바탕으로 비용을 줄인 결과다.

중국 리튬 회사들은 남미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사들인 광산에서 리튬을 채굴, 배터리 등에 필요한 탄산리튬이나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한다.세계 리튬 매장량의 60%는 남미의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염호 등 '리튬 삼각지'에 몰려 있다. 중국 배터리 제조 기업인 톈치리튬은 칠레 최대 리튬 업체인 SQM 지분 24%를 확보했고, 간펑리튬은 지난달 아르헨티나 광산 채굴 회사 '리테아'를 인수했다. 특히 간펑리튬은 호주, 멕시코, 아일랜드의 주요 리튬 광산 지분도 갖고 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배터리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달러(약 58조7000억원)이었다. 이 중 중국 CATL이 130억달러(약 17조9000억원)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올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매출액은 108억9000만달러(약 15조원·26%)로 CATL 한 곳 매출보다도 적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