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양국간 '온도차'…외교수장이 조율?

뉴욕서 만나 강제징용 등 논의
박진 외교부 장관이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을 만나 회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를 두고 양국 정부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외교 수장이 먼저 만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등 정상회담 선결 과제를 논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19일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박 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의 회담 일정이 확정됐다고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한·일 관계 최대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며 “박 장관이 한국의 해결 방안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한 핵 개발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일 3국 협력 및 한국 측 조사선의 독도 인근 수역 활동도 의제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외교가에서는 이번 회담이 한·일 정상회담을 위한 사전 접촉의 성격일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본은 강제징용 피해자 재판에 따른 자국 기업들의 한국 내 자산 강제매각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정상회담을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박 장관이 외교부 주도의 민관협의체에서 논의하고 있는 민간 기금 조성을 통한 보상안을 일본 정부 측에 설명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다만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해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사이의 불협화음이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이번 회담이 무산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짧은 시간 동안 환담을 주고받는 약식회담에 그쳐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0일 뉴욕에서 열리는 제77차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일본 정부에서는 즉각 합의 사실을 부인한 바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담 성사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의에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노코멘트”라며 “나중에 계기와 결론이 있을 때 밝힐 것”이라고 답했다.

전범진/좌동욱 기자 forward@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