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또 오른다, 변동성 커지는 증시... "변동성 적은 가치주로 피신"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강도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외 증시가 혼조세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국면에서 성장주를 덜고 ‘저변동성’ 종목을 위주의 투자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15일 S&P다우존스에 따르면 ‘S&P 한국 저변동성지수’는 국내 증시가 약세장이 시작된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4일까지 2.69%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4.82%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시장수익률을 웃돌았다. 올해 전체로 보면 S&P 한국 저변동성지수는 연초 대비 4.5% 하락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Fed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보다 더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저변동성 종목들에도 최근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변동성이 높은 성장주들은 금리 인상 국면에서 주가가 크게 하락하지만, 주가 변동성이 적은 종목들은 시장 대비 수익률을 방어할 수 있어서다. Fed워치에 따르면 9월 미국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될 확률은 13일 하루 만에 0%에서 32%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변동성 종목 중에서도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 미만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먼저 살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12개월 선행 PBR이 1배 미만이면서, 최근 1개월간 주가 변동율이 25% 아래인 종목으로는 KT, 삼성화재, DB손해보험, GS, 삼성카드, 현대백화점 등이 꼽혔다.
최근 수익률 기준으로 보면 GS가 가장 우수한 편이다. 최근 1개월(8월16~9월14일) 간 4.22% 상승했다. 삼성화재(-2.28%), 효성(-2.23%)은 소폭 하락했지만 시장수익률과 비교하면 선방한 편이다.연초 대비로 보면 KT가 19.44%, DB손해보험이 7.41%, GS가 15.23% 올라 올해 약세장에서도 시장 대비 높은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들어 주가가 18% 이상 하락했지만, 애널리스트들은 현대백화점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반전을 기대해 볼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중원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저변동성지수는 7~8월 반등장에서는 부진했지만, 9월 이후 코스피지수 변동성이 재차 확대되면서 다시 강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금리 상승 국면에서는 특히 가치주가 성장주 대비 강세를 기록하므로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