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빔]전기차 배터리, 진짜 분리와 유사 분리

-소유권과 탈착식의 진화

전기차에서 배터리를 떼어내려는 움직임은 사실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이미 일상에서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충전하는 방식이 일상화됐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전기차에서 배터리를 떼어낸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는 배터리의 소유권이다. 차에 고정돼 있어도 소유권은 나눌 수 있고 관심을 보인 곳이 금융권이다. 전기차에 고정 장착된 배터리의 소유권을 확보한 후 전기차 구매자에게 매월 이용료와 이자를 받으려 한다. 이에 따라 꾸준히 소유권 분리를 요구했고 정부는 이를 허용했다. 자동차등록증에 전기차 소유자와 배터리 소유자가 별도 기재될 수 있도록 했다.

또 다른 분리 움직임은 배터리를 자동차에서 진짜 떼어내려는 탈착식이다. 중국은 이미 적극 진행 중이고 일본도 대형 상용 전기차에 한해 검토에 들어갔다. 매일 일정 구간을 왕복하는 상용 전기차는 플러그를 꽂아 충전하는 것보다 이미 충전된 배터리를 바꾸는 게 보다 효율적이라 판단한 덕분이다. 국내도 전기 바이크는 이미 탈착식이 확대되는 중이다. 물론 이때도 배터리와 전기차의 소유권은 분리된다. 이 사업은 값비싼 배터리의 구매 여력만 있다면 금융업, 에너지기업 등이 모두 관심을 갖는다. 물론 전제는 배터리의 표준 규격화 및 탈착식의 적용이다. 자동차회사가 탈착식을 선택하지 않으면 사업을 하고 싶어도 못한다. 하지만 전기차 보급을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은 이를 강제하기로 했다.

여기서 관심은 보조금의 행방이다. 기본적으로 전기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주는 이유는 운행 때 배출가스를 내뿜지 않아서다. 하지만 엄밀하게는 배터리에 보조금을 주는 것이어서 전기차를 폐차할 때는 배터리를 자치단체가 회수한다. 현재는 탈착식이 아니어서 자동차에 지급해도 큰 문제가 없는 셈이다. 그런데 소유권을 금융회사가 가져가면 상황은 달라진다. 전기차 보조금을 누구에게 지급할 것인가의 논란이 대두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