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급등에 하락…나스닥 2.18%↓ [뉴욕증시 브리핑]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두고 국채금리가 급등한 영향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13.04포인트(1.19%) 하락한 34,308.08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5.75포인트(1.69%) 떨어진 4,412.5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9.04포인트(2.18%) 밀린 13,411.96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하루 앞둔 가운데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2.79%로 2019년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한 데 따라 투자심리가 악화됐다. 특히 금리 급등은 기술주와 성장주에 더 큰 영향을 주면서 나스닥이 급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3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미국 중앙은행(연방준비제도·Fed)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연준이 다음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 인상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중이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다음 회의에서 (논의될 것은) 어떻게 거기(중립 금리)에 도착하며, 얼마나 빨리 도착하느냐에 대한 부분”이라며 “50bp (인상은) 고려할 가치가 분명 있다. 올해 12월까지 중립 수준으로 가길 원한다면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도 증시를 짓눌렀다. 코로나19 확산에 15일 동안 계속된 중국 상하이의 도시 전면 봉쇄가 일부 풀렸으나 정상화까지는 아직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에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됐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도 중국 경기 둔화 우려의 영향으로 4% 가량 하락했다.

기업들의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오는 13일 JP모건과 델타 항공의 실적을 시작으로 시작된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연준의 긴축 영향으로 1분기 기업 실적이 전분기보다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팩트셋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들의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날 S&P500지수에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다. 에너지 관련주가 유가가 4% 이상 하락한 여파로 3% 이상 떨어졌다.

트위터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의 이사회에 합류하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에 1% 이상 올랐다.엔비디아는 현지 증권사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재고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투자의견을 하향하자 5% 이상 하락했다.

반면 AT&T의 주가는 디스커버리 분사가 완료됐다는 소식에 7% 이상 올랐다.

테슬라의 주가는 중국에서의 3월 차량 인도량이 증가했다는 소식에도 중국의 코로나19 확산으로 상하이 공장의 생산이 계속 중단된 여파로 4% 이상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올해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82.1%를 기록했다. 1주일 전에는 74.9%였다.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3.21포인트(15.17%) 오른 24.37을 기록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