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19일 만에 文-尹 전격회동…용산 이전·추경편성 해법 나오나

오늘 청와대 만찬 회동

더 늦어지면 정치적 부담 커져
허심탄회하게 대화 나눈다지만
인사권 갈등·MB 사면 등
꼬인 실타래 한 번에 풀릴지 주목
< 워크숍서 강연 듣는 尹 당선인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6일 서울 공덕동 서울창업허브에서 열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워크숍에서 김형태 김앤장 수석이코노미스트의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6시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을 겸한 첫 회동을 한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인사권 갈등 등 정권 이양기에 신구(新舊) 권력이 대립해온 정국 현안이 풀릴지 주목된다.

감사원 업무보고 후 분위기 반전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7일 각각 브리핑하고 이 같은 회동 소식을 알렸다. 양측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만났으면 한다”는 의견을 윤 당선인 측에 전달했다. 이에 윤 당선인이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게 중요하다. 의제 없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하자”는 취지의 답변을 청와대에 전하며 만남이 성사됐다. 회동엔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배석한다.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 만남은 대선일 이후 19일 만이다. 역대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 간 회동 중 가장 늦다. 애초 두 사람은 지난 16일 오찬을 함께하기로 했지만, 예정 시간을 불과 네 시간 앞두고 무산됐다.

첫 회동이 무산된 이후 한국은행 총재 임명, 추경 편성 등 당초 이견이 없을 것으로 관측됐던 경제 현안에서도 갈등이 증폭됐다. 윤 당선인이 직접 지휘봉을 들고 발표한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약에 대해 문 대통령이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고 사실상 반대하기도 했다. 그러자 윤 당선인은 “청와대에 한 발도 들어가지 않겠다”며 반발했다.

이런 분위기는 25일 감사원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보고 이후 바뀌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은 인수위에 “정권 이양기 감사위원 임명 제청권 행사는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공석인 2명의 감사위원 임명은 정권 말 인사 권한뿐 아니라 정권 교체 이후 정책 감사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양측이 가장 첨예하게 맞서던 사안이었다. 북한이 4년4개월 만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해 안보 위기가 커진 것도 “회동을 더 미뤄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은 배경이다.

집무실 이전·MB 사면 논의될 듯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측은 “두 사람이 미리 정해진 의제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전했다. 16일 예정됐던 오찬 회동이 만찬 회동으로 바뀐 것도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려는 양측 의견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가장 급한 현안은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약이다. 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약 500억원의 예비비 지출 안건을 처리하지 않아 사실상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 청사로 들어가기 전 한두 달 동안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을 집무실로 쓰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다만 인수위 내부에서도 “집무실 이전 공약이 졸속 추진되는 듯한 인상을 주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손실 보상을 위한 추경 편성도 협상이 필요한 현안이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 정치권이 모두 “자영업자의 손실을 보상하라”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정부에선 임기 내 편성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은 “국민 통합 차원에서 문 대통령이 풀고 갈 사안”이라는 공감대가 이미 형성돼 있다. 감사원의 입장 발표로 교통정리가 어느 정도 이뤄진 인사권 갈등도 대화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열려 있다. 다만 한 번의 회동으로 그동안 꼬인 실타래가 술술 풀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좌동욱/임도원 기자 leftki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