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자회사 물적분할땐…기존 주주들에게 현물 배당"

내달 클라우드 법인 신설 앞두고
정관 개정 추진…주주환원 강화
클라우드 법인 신설을 앞둔 NHN이 물적분할 자회사를 상장할 경우 상장 건을 주주총회 특별결의 안건으로 상정하고 자회사 주식의 현물 배당이 가능하도록 정관 개정을 추진한다.

NHN은 이달 29일 열리는 주주총회 안건으로 이 같은 내용의 회사 정관 개정안을 추가 상정했다고 4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정관 개정은 자회사의 상장 추진 시 주주 의견을 적극 경청하고, 자회사의 성장 및 과실을 주주와 함께 나누기 위한 NHN의 의지”라고 설명했다.이사회에서 정우진 NHN 대표는 창사 이후 첫 주주 서한을 보내 주주 환원 전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핵심 사업 추진 방향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본격화 방향도 공유했다. 정 대표는 “올해부터 3년간 직전 사업연도 별도 기준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의 최소 30%를 자사주 매입 또는 배당 형태의 주주 환원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NHN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869억원어치에 달하는 자사주를 사들였다. 지난해 12월에는 보통주 1주당 1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정해 4.3%에 해당하는 자사주를 소각했다.

오는 4월 1일에는 NHN 클라우드 법인 신설이 예정돼 있다. 기업분할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정 대표는 “선제적 투자를 요구하는 클라우드 사업에서 자금을 조달해 전문경영 체제를 확립하겠다”며 “자회사 클라우드 사업이 발전하면 모기업인 NHN의 기업가치 또한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NHN은 올해 △게임 사업의 P&E 시장 선점 △페이먼트 사업의 국민생활플랫폼 전략 △커머스 사업 글로벌 확장 △기술 사업의 공공시장 선점 전략 등 4대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할 전망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ESG 경영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연내 ESG위원회를 만들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NHN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9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