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위기 기업 줄잇는데…거래재개 성공한 세기상사

지난해 말 상장 유지 결정
유가증권시장서 거래재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오스템임플란트, 신라젠 등 한국거래소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돼 상장폐지 위기에 내몰리는 기업이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말 거래재개에 성공한 세기상사가 주목받고 있다. 1년여간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 한국거래소 측의 눈길을 끌었다는 평가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21일 기업심사위원회에서 세기상사의 상장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 결정으로 다음달인 12월22일부터 세기상사의 거래가 재개됐다. 이 회사는 2020년 2분기 매출이 5억원 미만까지 급감하면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됐다. 주수익원인 대한극장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며 실적이 크게 나빠진 여파가 컸다. 세기상사는 같은 해 8월18일부터는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가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같은 해 10월 세기상사에 1년간의 개선기간을 부여했다.세기상사는 녹록지않은 영업환경에서 사업구조를 확 뜯어고치는 방식으로 부활을 도모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2월 우양산업개발을 새 주인으로 맞이한 뒤 경영진을 교체하고 법무법인 세종을 자문사로 선정해 경영개선 계획을 발 빠르게 이행해나갔다. 세종은 상장폐지 대응 전문팀을 운영하면서 최근 몇 년간 감사의견 거절, 임직원의 횡령배임, 분식회계 등으로 거래가 정지됐던 상장사들의 거래 재개를 이끌어내며 이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로펌 중 하나다.

세기상사는 일단 수익 창출능력을 잃어버린 극장 대신 다른 수익원을 구축하는데 힘을 쏟았다. 우양산업개발의 계열사인 우양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주유소들을 넘겨받아 급한 불을 껐다. 새 수익원을 확보한 데 힘입어 지난해 매출 178억원을 냈다. 2020년(22억원)보다 700% 증가한 규모다. 영업적자(15억원)가 이어지긴 했지만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앞으로 복합문화공간 사업 진출 등을 통해 종합문화레저 기업으로 변신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유무영 세종 상장폐지 대응 전문팀 변호사는 “사업구조와 지배구조 개선, 내부통제시스템 재정비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다시 높일 수 있는 계획을 세워 한국거래소를 설득했다”며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3월은 많은 기업이 상장폐지 위기에 처할 수 있는데, 신속한 원인 파악과 경영 개선계획을 제시해야 최대한 빨리 거래 재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