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증시…롯데·현대重그룹은 시총 늘었다

주요 그룹 시총 살펴보니
변동성 장세서 롯데 0.93%↑
20% 상승한 롯데칠성 덕분
현대重도 0.53% 소폭 증가

삼성·LG·SK 등은 대부분 꺾여
계속되는 악재로 변동성이 극심한 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 들어 주요 그룹주 중 롯데와 현대중공업그룹은 오히려 시가총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은 1% 미만이지만 코스피지수가 10% 넘게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음식료, 조선주 등 증시 변동성을 방어해주는 자회사들이 포진한 영향이다. 반면 카카오와 SK, 현대차, LG, 삼성그룹의 시총은 두 달 새 10~20% 줄어들었다. 금리 인상기에 진입하면서 성장주 밸류에이션이 깎이고, 4분기 어닝 쇼크를 낸 기업이 늘어나면서 주요 그룹주 주가도 맥을 못 추고 고개를 꺾었다.

○롯데·현대중공업 그룹주 선방

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 SK 현대차 LG 카카오 포스코 현대중공업 롯데 CJ 등 8개 주요 그룹 가운데 올 들어 시총이 늘어난 곳은 롯데와 현대중공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그룹의 시총은 지난해 말 21조2993억원에서 지난 24일 종가 기준 21조4977억원으로 0.93% 늘었다. 같은 기간 현대중공업그룹은 25조3379억원에서 25조4715억원으로 0.53% 증가했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는 11.04% 하락했다.

롯데그룹이 시총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롯데칠성 덕분이다. 올 들어 롯데칠성 시총(1조5217억원)은 22.85% 늘었다.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가 가능한 방어주 성격을 띠고 있는 데다 엔데믹이 가시화되면서 리오프닝(경제재개) 수혜에 대한 기대까지 반영돼 주가가 크게 올랐다.현대중공업그룹은 올 들어 크게 오른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등 조선 자회사 덕을 봤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 문제가 한 달 내내 증시를 짓눌렀지만 조선주에는 오히려 호재가 됐다. 러시아가 유럽으로 향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끊어버리면 유럽이 LNG(액화천연가스) 수입 비중을 확대하면서 LNG운반선 발주량도 늘어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천연가스 대체재로 석유가 부각되며 국제 유가가 급등한 것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현대미포조선 시총은 12.14%, 현대중공업은 10.82% 늘었다.

○두 달 새 카카오 시총 21% 증발

올 들어 시총이 가장 많이 쪼그라든 곳은 카카오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109조1323억원에 달하던 카카오그룹 시총은 86조1875억원으로 21.02% 줄었다. 두 달 새 시총 23조원이 증발했다. 성장주가 고전하는 금리 인상기에 접어든 데다 경영진의 스톡옵션 기습 매각, 정치권의 플랫폼 기업 규제 움직임 등 악재가 겹치면서 카카오(-19.97%)를 비롯해 넵튠(-33.44%), 카카오게임즈(-23.90%), 카카오페이(-22.60%), 카카오뱅크(-20.51%) 등 자회사 시총이 일제히 20~30%씩 줄었다.

SK그룹도 최악의 두 달을 보냈다. 지난해 공모주 투자 열풍을 일으킨 주역인 SK바이오사이언스 시총이 두 달 새 39.11% 증발하며 ‘미운 오리 새끼’로 전락했다. 코로나19 백신 이외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실적 쇼크를 낸 SK아이이테크놀로지 시총도 28.57% 줄어들었다. SK그룹 시총은 두 달 만에 210조6857억원에서 181조5116억원으로 13.85% 줄었다.이외에 현대차(-17.22%)와 현대오토에버(-22.65%) 등이 부진한 성적을 내면서 현대차그룹의 시총도 12.77% 감소했다. LG그룹 시총도 11.46% 줄었다. 중국 경쟁업체와의 치킨 게임으로 LCD 패널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실적에 적신호가 켜진 LG디스플레이가 시총을 끌어내렸다. 삼성과 포스코, CJ그룹 시총도 두 달 새 각각 10.04%, 7.33%, 3.72% 감소했다.

올해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는 그룹으로는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CJ가 꼽힌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영업이익 합계는 지난해 -8821억원에서 올해 3조1415억원으로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올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5.3%, CJ그룹 18.5%, 삼성그룹은 12.7%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