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순이익 추정치 6개월 만에 반등…"대형 가치주 담을 기회 왔다"

신영證 "하락장 8부능선 넘어"
올해 국내 기업 순이익 추정치가 6개월 만에 상향 조정되면서 국내 증시에도 반등 시그널이 감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다음달까진 변동성이 큰 장세가 이어지겠지만, 이번 조정을 반도체 및 경기민감주 등 가치주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7일 신영증권은 “국내 증시 반등 조건 세 가지 중 두 가지에서 변화 조짐이 나타났다”며 “한국 시장의 하락장이 8부능선 이상 진행됐다”고 밝혔다. 신영증권은 증시 반등 조건으로 △실질금리의 플러스 전환 △경기선행지수 반등 △공급망 교란 완화 등을 꼽았다. 이 중 경기선행지수와 공급망에서 변화가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 유럽, 남미에서 오미크론 피크아웃 징후가 확연하다”며 “다수 국가가 한꺼번에 경제 재개에 나서면 경기선행지수 반등은 당초 예상보다 매우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호재는 최근 한국 기업들의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이 6개월 만에 반등했다는 것이다. 지난 4일 국내 26개 업종의 기업 EPS는 1개월 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업종이 9.8%로 가장 크게 늘었고, 운송(9.4%), 헬스케어(5.3%), IT하드웨어(3.2%)가 뒤를 이었다.

박 연구원은 “아직 다른 업종은 조용한 가운데 반도체가 이끄는 국면이지만 EPS가 올라가는 구간에서 지수의 하방경직성은 매우 강해진다”며 “스타일 측면에서 대형 가치주 매수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남은 변수는 금리다. 박 연구원은 “금리가 추가로 오르면 성장주 차익 실현이 이어지고, 변동성이 다시 커질 수 있다”면서도 “경제 재개라는 방향성이 확실하기 때문에 가치주의 1차 바닥은 확인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봄이 오면서 점차 악재에는 둔감하고 호재에 민감한 시장으로 바뀌어 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