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시브 자금 1.5兆 온다 "…LG엔솔 상장에 운용사도 '비상'

NH아문디운용 오늘 새 '지수 룰' 적용
양대 운용 삼성·미래에셋도 적용 예정

MSCI지수 등 포함 땐 패시브 자금 최대 1.5조
"자금 유입 띄엄띄엄…개미들 '신중론' 필요"
작년 6월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2021' 내 LG에너지솔루션 부스. 사진=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을 코앞에 둔 가운데 이번 주부터 2차전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들의 기초지수 방법론에 새로운 룰이 적용된다. 주요 ETF들도 이른바 'LG에너지솔루션 몰빵'(집중 편입)을 결정하면서 '수급 쏠림 현상' 부채질에 나선 것이다. 금융투자 업계 전문가들은 개인 투자자들 주가가 시장 열기에 부응할 때 못지 않게 조정 받을 때도 현명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4일 자산운용 업계에 따르면 NH아문디자산운용의 'HANARO Fn전기&수소차 ETF'는 이날부터 기초지수 산출기준을 변경한다. 편입종목이 전기·수소차 관련 비상장 자회사를 떼어내 따로 상장시킬 경우 그 자회사를 새로 편입하고 모회사는 편출한다는 게 골자다. 기존 지수 방법론의 종목 교체 기준에는 '신규상장 종목'과 '물적분할 종목'의 사례를 반영한 규정이 따로 없었다.회사는 기초지수인 FnGuide 전기&수소차 지수에 이같은 내용의 특별편입조항을 달아 투자자들에게 안내했다. 실제 새로운 방법론대로 구성종목이 바뀌는 것은 자회사 상장일로부터 7영업일 이후(2월9일)부터 가능하다.

당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을 염두에 둔 조치로 읽힌다.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이 LG화학으로부터 떨어져 나오자 관련 ETF로서 구성종목 재정비에 나선 것이다. HANARO Fn전기&수소차 ETF의 시가총액은 352억원 수준으로 비교적 작지만 LG화학 비중은 6%에 육박한다.

양대 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도 각각 비슷한 내용의 새 지수 방법론을 이달 26일과 28일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대상 ETF는 'KODEX 2차전지산업'과 'TIGER 2차전지테마'로 두 상품의 시가총액 합만 1조4000억원이 넘는다. LG화학 편입 비중을 살펴보면 KODEX 2차전지산업이 19.63%, TIGER 2차전지테마가 9.11%다.특히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관련 ETF는 내달 9일부터 2~3거래일에 걸쳐 교체 매매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TF 시가총액이 큰 만큼 한 번에 매매가 이뤄질 경우 시장이 악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다. 실제로 KODEX 2차전지산업 ETF는 이번 지수 방법론 공시에서 "리밸런싱 매매 일정을 1~3일로 분산시켜 ETF 정기 변경 매매로 인한 개별 종목의 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고 전한 바 있다.

이렇듯 운용사들은 모두 2차전지 관련 매출이 자회사 사업으로 옮겨간 경우 지수위원회 검토를 거쳐 모회사를 빼고 자회사를 새로 편입하겠다는 데 공통된 입장을 보였다. 이들 회사 모두 내달 9일부터 종목 변동이 가능하다고는 했지만 반영 시점이라든가 편입 방식 등이 일관되진 않을 예정이다. 각 ETF마다 지수산출기관이 달라서다. 지수구성종목 교체와 관련한 사항들과 관련해선 지수사가 결정권을 갖고 있다. "LG화학을 그대로 두는 대신 비중을 줄이는 방식도 있었으나 지수사가 물적분할 회사만 편입시키는 방향으로 결정했다"는 게 한 운용사 임원의 전언이다.
이미지=한경DB
운용사 3사의 수급이 끝이 아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달과 3월 중 MSCI지수와 KOSPI200지수 등에도 편입될 전망된다. 아울러 기타 2차전지 관련 ETF로부터 1000억원 넘는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외 시장에 상장된 ETF 가운데 LG화학을 포함하고 있는 상품은 무려 273개에 달한다. 증권가 의견을 종합하면 올 1분기 다양한 지수들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으로 유입될 패시브 자금 총액은 1조3000억~1조5000억원 수준이다.증권가도 LG에너지솔루션 주가의 향방에 패시브 자금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자금이 띄엄띄엄 유입될 것으로 예견되는 데다 수급재료가 소멸되면 주가가 단번에 조정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허율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동 시총이 작을수록 상장 당일 주가 수익률이 높았던 전례들을 미뤄볼 때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도 오버슈팅할 확률이 높다. 문제는 주요 지수 편입 시점부터는 적정 주가를 찾기 위해 조정에 들어설 것이라는 점"이라면서 "수급에 의한 가격 변동성이 큰 만큼 개인 투자자들은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울 텐데, 이런 점을 유의해 가면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 자산운용사 ETF 담당 임원은 "LG에너지솔루션을 일찍 편입하는 ETF가 좋을지, 늦게 편입하는 ETF가 좋을지 고민하는 투자자들이 많지만 이는 이른바 '신의 영역'이라 알 수 없다"라며 "종목 편출입에 따른 효과가 옛날 같지는 않아서 상장과 동시에 대부분의 수급 호재가 선반영됐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