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수익률 공시 폐지해달라"는 은행들 왜?

국민銀 '원리금 비보장' 연 21%
원리금 보장형 상품 비중 높아
합계수익률 5%대로 떨어져
은행들이 금융감독원에 원리금 보장형과 비보장형 퇴직연금의 성과를 합산한 합계수익률 공시 제도를 폐지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합계수익률이 회사별 운용 성적을 제대로 보여보지 못하고, 증권사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몇몇 대형은행은 금감원에 합계수익률 공시를 폐지하고, 원리금 보장형과 비보장형 수익률 공시만 남겨달라고 요구했다. 지난달 정은보 금감원장과 주요 은행장의 상견례 자리에서도 이 같은 내용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통합연금 포털’을 통해 퇴직연금의 사업자별 수익률을 △원리금 보장형 △비보장형 △합계 등 세 가지 형태로 제공한다. 소비자는 각 증권사, 보험사,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이 얼마인지, 단기 수익률(1년)과 장기 수익률(3~10년)이 어떤지 확인해 개인이 운용을 책임지는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가입하고 있다.대부분의 소비자가 합계수익률로 금융사의 운용 성적을 판단하고 있다는 게 은행들의 주장이다.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한 소비자가 몰리는 증권사가 퇴직연금을 더 잘 굴린다는 인상을 준다는 의미다.

지난 3분기 기준 은행의 퇴직연금 가입자 중 87%는 원리금 보장형을 택했다. 퇴직연금을 은행 및 저축은행 예금, 파생결합사채(ELB) 등에 투자해 원금을 지킨 대신 수익률이 낮았다. 증권사는 원리금 보장형을 찾은 비중이 72%로 은행보다 낮았다. 주식과 채권을 담는 원리금 비보장형을 택하는 소비자 비중이 은행보다 컸다는 의미다.

이렇다 보니 은행의 합계수익률은 떨어진다. 예컨대 올 상반기 IRP 1년 합계수익률을 보면 한국투자증권이 10.77%에 달했다. 국민은행(5.01%) 신한은행(5.10%) 하나은행(5.25%)의 두 배가 넘는다. 그러나 원리금 비보장형의 1년 수익률을 보면 국민은행이 21.45%에 달했다. 3분기 말 기준 한국투자증권의 원리금 보장형 가입자 비중은 69%, 국민은행은 83%였다. 투자자 구성 차이가 통계 왜곡을 부른 셈이다. 은행 관계자는 “대부분의 금융회사가 ‘IRP 1년 수익률 1위’와 같은 식으로 소비자의 이목을 끌다 보니 은행이 불리한 구조”라고 말했다.

김대훈/정소람 기자 daep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