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폭등에 월가도 당황…"장기로 분할매매하라"

美 빅테크 질주, 어디까지 갈까 (1) 테슬라

왜 이리 급등했나
허츠 10만대 구매계약
"미래 자율주행 사업
결국 테슬라가 주도"
美 보조금 상향도 호재

목표주가 올렸지만…
3분기 好실적 발표 후
목표주가 평균 796달러
현 주가와 35% 괴리
테슬라는 5일 기준 최근 1개월간 53.99% 올랐다. 올해 상승률은 67.46%에 달한다. 주가가 단기 급등하면서 조정 가능성은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이 분할 매수, 분할 매도하며 장기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는 이유다.

3분기 실적 발표 후 랠리 재개

테슬라의 최근 급등세는 원인이 복합적이다. 우선 지난달 21일 발표한 3분기 실적이 주된 이유다.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웃돈 것은 물론, 차량 판매 부문 수익성이 개선됐다. 여기에 지난달 25일 미국 2위 렌터카업체 허츠(Hertz)가 모델3를 내년까지 10만 대 구매하기로 계약했다고 밝히면서 하루 만에 주가가 12% 뛰었다.
단순히 공급 계약 문제가 아니다. 허츠 같은 렌터카업체는 중고차의 감가상각이 작아야 한다. 테슬라는 전기차 가운데서도 지속적인 OTA(무선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언제 산 테슬라 차든 최신의 자율주행 기능을 누릴 수 있다는 얘기다. 테슬라의 최대 강점이다. 향후 허츠가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모빌리티 사업을 확장하더라도 테슬라와 손잡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테슬라가 입증한 셈이다.

미국 내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상향 소식도 주가에 불을 지폈다. 금리도 테슬라 주가에 긍정적이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연 1.5% 밑으로 떨어졌다.

목표주가 올리는 월가

테슬라 주가를 놓고 월가의 애널리스트들도 당황스러워하는 기색이 엿보인다. 이미 지난달 실적 발표 후 12명의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목표주가 평균은 796달러 수준이다. 목표주가가 현재 주가보다 35%가량 낮은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주가 상승세가 너무 빠르다보니 목표주가가 주가를 못 따라가는 상황이다.미국 증권사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실적 발표 후 목표주가를 1000달러에서 1100달러로 올렸다. 최근 그는 “넷플릭스와 아마존도 성장 초기 100배 이상의 주가수익비율(PER)을 기록했고, 증권가에서는 (고평가를) 우려해왔지만 지금은 테슬라와 마찬가지로 투자자들의 가장 큰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현재의 고평가 상태보다는 미래 성장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목표주가로 300달러를 제시하며 테슬라에 부정적이었던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조차 지난 3일 “지난 1년간 테슬라의 마진 개선이 눈에 띈다”며 테슬라의 수익성 개선세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격화되는 글로벌 전기차 경쟁

테슬라의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보여주는 12개월 선행 PER은 147배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차 업종 PER인 12.3배 대비 12배 가까이 고평가돼 있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주가가 계속 오르는 것은 현재 성장 속도를 감안할 때 4년 뒤 PER이 30~40배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긍정론의 중심에는 테슬라가 ‘없어서 못 파는 차’라는 사실이 자리한다. 계속해서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개선해나가면 판매량이 자동으로 따라 늘면서 실적이 증가한다는 얘기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테슬라가 계획대로 생산비용을 감축할 경우 매년 60~70% 속도로 순이익이 늘어나고, 2025년에는 PER이 30~40배로 내려간다.

미국 리서치업체 모닝스타는 “테슬라는 시장에 나와 있는 모든 전기차 가운데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게 대세라면, 1등 업체의 판매량과 점유율이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가치도 주가를 지탱하는 요인이다.

전통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 시장에 대거 뛰어들고 있다는 점은 하락론의 근거다. 전기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테슬라의 ‘절대 우위’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테슬라가 계획하는 60~70%의 성장 속도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정부 정책 방향도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미국 정부가 자율주행 규제를 강화할 경우 테슬라의 자율주행 상용화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

고윤상/박의명 기자 k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