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10조 날린 카카오…카카오페이 상장까지 발목 잡나?

카카오그룹株, 인터넷 플랫폼 규제 강화 우려에 출렁
상장 앞둔 카카오페이…청약 흥행 여부 불투명
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 관련주들이 줄줄이 내리막을 타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을 중심으로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을 앞둔 카카오페이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금융당국의 인터넷 플랫폼 규제 강화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업공개(IPO) 청약 흥행에 실패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침없이 질주하던 카카오그룹주들은 지난 6일부터 전날까지 주가가 대폭 내렸다. 이 기간 카카오는 11.5% 하락했으며, 카카오뱅크와 카카오게임즈도 각각 10.5, 7.7%가량 하락했다.카카오는 오후 12시5분 현재 주가는 전날대비 9000원(6.50%) 하락한 12만9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8조원이 넘었던 카카오의 시가총액은 이틀 새 급락하면서 10조원 이상이 빠진 57조5895억원을 기록중이다. 같은 시간 카카오뱅크는 반등에 성공했지만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고, 카카오게임즈는 1% 넘게 하락하고 있다.

카카오는 자체적인 성장성에 자회사들의 상장까지 겹치면서 주가는 상승곡선을 탔다. 연초 7만8000원(액면분할 환산주가 기준)이었던 주가는 지난 6월 17만3000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최근 정치권에서 불거진 시장 독점 문제와 금융플랫폼 규제 등이 맞물리면서 주가는 추락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앞으로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파이낸셜과 같은 온라인 금융플랫폼들이 금융상품을 비교·추천하는 등 소비자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금융당국에 등록해야 한다고 지난 7일 밝힌 이후 주가는 폭락하고 있다. 플랫폼 기업의 금융상품 소개 행위가 중개로 간주되면 금융소비자보호법 대상이 되기에 플랫폼 기업은 금융위에 등록하거나 인가를 받아야 한다.정치권에서는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7일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송갑석 민주당 의원은 "혁신과 성장의 상징이었던 카카오가 소상공인에게 높은 수수료를, 국민에게는 비싼 이용료를 청구하며 이익만 극대화하는 ‘탐욕과 구태’의 상징으로 전락했다"며 비판했다.

증권가에선 이번 금융당국의 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향후 카카오페이 청약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페이는 다음달 1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카카오페이는 당장 이달 말부터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카카오페이의 주당 공모 희망가는 6만~9만원으로 조정됐다. 기존 6만3000~9만6000원에서 금융감독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에 하향해 제출했다.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 플랫폼 규제와 관련해)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의 투자와 대출·보험 관련 매출 비중은 미미한 상황으로, 단기적으로 양사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관련 규제의 강화나 다른 사업 영역으로까지 확대될 경우 플랫폼 기업 주가의 핵심인 멀티플 확대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KB증권도 이번 금융 플랫폼 규제와 관련해선 투자심리에 분명 부정적인 이슈라고 분석했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금융플랫폼 사업자들은 결제, 송금 분야를 시작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로, 이번 규제가 네이버와 카카오의 단기적인 연결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 정부의 규제 의지로 인해 핀테크 사업 관련 투자 심리는 위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과도한 우려가 부른 과매도라는 지적도 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는 이미 주요 금융상품에 대한 인허가를 득한 상태로 사업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플랫폼에서 금융소비자가 명확히 인지하도록 내용을 개편하고 고지한다면 사업을 영위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판단했다.

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