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또 다시 "코로나19 中 우한 연구소에서 나와"

트럼프·폼페이오, 코로나19 우한 기원설 제기
"가능성이라는 단어 빼도 돼" 확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국 우한 기원설을 재차 강조했다.

25일(현지시간) 미국 매체들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발원지가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라는 주장에 힘을 실었다. 그는 "연구소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가능성'이라는 단어를 빼도 된다고 생각한다"며 "연구소에서 나왔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아주아주 적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우한 기원설을 확신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당시 코로나19 중국 책임론을 강하게 밀어붙이며, 바이러스가 우한의 연구소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을 몇 차례 제기한 바 있다.

트럼프에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도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 우한 유출설을 조사해야한다며 중국이 해당 사실을 은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폼페이오 전 국무장관은 "내가 본 것과 똑같은 정보를 봤음에도 과학자들, 심지어 미국 정부 과학자들마저 이를 부인한 건 터무니 없는 일이었다"며 코로나19 우한연구소 발원설에 부정적 입장을 취한 미국의 방역 책임자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을 언급했다.

이어 "중국 공산당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안다. 누가 최초 감염자이며 바이러스가 어디서 시작한 것인지 정확히 안다"면서 "그들(중국)은 오늘도 이 똑같은 연구소에서 실험하고 있다. 1년여 전 발생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지난 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을 밝혀내기 위해 중국 허베이성 우한을 방문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조사팀의 모습 /사진=AFP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3일 미국 정부의 비공개 정보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의 우한 바이러스연구소 연구원 3명이 코로나19 첫 발병보고 직전인 2019년 11월 병원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아팠다고 보도했다.하지만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지금까지 해당 연구소의 직원·연구원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없다"며 "미국이 끊임없이 실험실 유출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고 반박했다.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 조사팀 또한 우한 현장 조사를 한 다음 내놓은 보고서에서 코로나가 실험실에서 유출됐다는 가설은 사실일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조사팀은 '직원의 우발적 감염으로 자연에서 발생한 바이러스가 실험실 밖으로 나온 경우'만 평가했을 뿐 고의로 유출했을 가능성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코로나19의 기원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독립 조사를 촉구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기원에 대한 결론을 내기에 충분한 정보가 없다"며 "자료와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파우치 소장도 한 토론 행사에서 코로나19가 자연적으로 발생했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중국에서 무슨 일이 있던 건지 조사를 계속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우리 능력의 최선을 다해 알아낼 수 있을 때까지 조사를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