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접종 신중하라"…아스트라 백신 '딜레마'

식약처, 전문가 자문결과 공개
"65세 이상 효과 자료 불충분"
의약품 허가 여부를 심사하는 전문가들이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을 허가하되 고령층 접종은 신중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고령층 접종에 대한 판단을 백신 접종을 시행하는 질병관리청에 미뤄 방역당국의 고민이 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허가해도 좋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5일 발표했다. 중앙약심위는 만 65세 이상은 효과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접종을 신중히 결정하라는 주의사항을 달도록 했다. 5시간30분에 걸친 마라톤 회의 끝에 내린 결론이다.식약처는 최종점검위원회를 거쳐 허가할 예정이다. 최종점검위는 문제점 등을 확인하는 단계여서 이번 결론이 식약처의 최종 허가사항에 그대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질병청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이 백신의 사용 범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전문가 판단에 따라 고령층 사용이 힘들어질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이럴 경우 정부의 백신 접종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1분기 접종 대상자 130만 명 중 상온 백신을 맞아야 하는 75만 명은 요양병원 입소자 등 고령층이다. 하지만 1분기 도입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00만 명분을 제외하면 코박스 퍼실리티를 통해 들여오는 화이자 백신 5만8500명분이 현재로선 전부다. 유럽에서 효능 논란이 일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거부 가능성도 변수다.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정부에서 불확실하다는 판단이 섰으면 임상 3상 수준의 추가 연구를 해 결론을 내리면 된다”며 “이런 과정 없이 논란을 키우는 것은 아쉽다”고 했다.

이지현/최지원 기자 bluesk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