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T·카카오 동맹…팬데믹 극복 '방역 AI' 만든다

첫 합작품 내년 상반기 공개
"종로 확진자 강남으로 이동"
일정 맞춰 실시간 대응 안내
박승기 카카오브레인 대표(왼쪽부터), 김윤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 우경구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팀 상무가 22일 SK텔레콤 판교사옥에서 ‘팬데믹 극복 인공지능(AI)’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한국을 대표하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팬데믹(대유행)’ 극복을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위해 손잡았다. 삼성전자, SK텔레콤, 카카오는 코로나19 조기 극복과 공공 이익을 위한 AI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번 ‘AI 동맹’으로 각 사가 가진 핵심 역량을 모아 미래 AI 기술 개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활용 방안 연구, AI 기술 저변 확대를 공동 추진한다.

갈수록 악화되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내년 상반기 ‘팬데믹 극복 AI’를 첫 합작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팬데믹 극복 AI는 유동인구 빅데이터와 공공 재난 정보 등을 통해 현재 위치의 코로나19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이용자 스마트폰에 기록된 일정과 항공·공연·숙박 등 예약 정보, 평상시 이동 경로 등으로 알맞은 대처 방안을 안내한다.예를 들어 서울 을지로입구역 주변 건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기지국 데이터 등을 활용해 당시 주변 유동인구가 800명이었고 그중 20%가 역삼동으로 이동했다는 점을 파악한다. 을지로입구의 위험도를 ‘상’으로, 역삼동을 ‘중’으로 분류해 을지로로 출퇴근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자차 이용을 권유하고 역삼동 극장을 예약한 사람에게는 거리두기를 안내하는 식이다. 향후 코로나19가 종식되면 태풍, 폭우 등 재난·재해 상황으로 서비스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3사는 팬데믹 AI를 별도 서비스로 만들기보다는 ‘백엔드 AI 플랫폼’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핵심 기능과 기술을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개발자, 연구기관, 기업 등에 개방해 다른 앱·서비스에 활용하도록 하는 공공 플랫폼 형태다.

3사 협력은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전시회 ‘CES 2020’에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에 AI 분야 협력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박 사장은 “글로벌 AI 전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국내 기업 간 경쟁보다는 초(超)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공동 실무 그룹을 발족했고 이후 최고기술경영자(CTO)급 워크숍을 격주 단위로 운영하면서 구체적 논의를 진행했다.이들은 팬데믹 극복 AI를 시작으로 사회 고령화, 미세먼지 등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연구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협력과 합류를 원하는 IT 기업이 있다면 문호를 확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이번 협력은 팬데믹 극복이라는 사회적 난제 해결에서 시작해 산업계, 학계에서도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AI 생태계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는 “훌륭한 파트너들과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 대표는 “글로벌 AI 경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