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소재 신사업 개척 주도…철강 경쟁력 강화 '제2 혁신' 숙제

최정우 회장 '만장일치' 연임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연임을 사실상 확정지었다. 11일 열린 이사회에서 세계 5위 철강회사(2019년 조강량 기준)를 끌어갈 ‘선장’으로 재신임받은 것이다.

이날 이사회에서 사외이사 7명 전원으로 구성된 최고경영자(CEO) 후보추천위원회는 최 회장이 차기 CEO 후보로 적합하다는 자격심사 검토 결과를 보고했다. 지난달 이사회에서 최 회장이 연임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뒤 추천위는 한 달간 자격심사를 했다. 11차례에 걸쳐 투자회사, 고객사, 협력사, 전·현직 임직원 등 사내외 다양한 관계자와 인터뷰를 했으며 7차례 회의를 열어 경영 성과도 평가했다. 5차 회의에서는 6시간 동안 최 회장을 면담하며 그간의 성과와 향후 경영 방향에 대해 분석하고 토론했다.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2기 경영 방향을 ‘혁신과 성장’으로 내세웠다. 그는 포스코그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철강, 인프라, 신성장 사업 등 전 영역에 걸쳐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추구해 핵심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문기 이사회 의장은 “최 회장이 구조조정을 통해 그룹 내 사업의 균형적이고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철강 사업의 회복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2차전지 소재 등 신성장동력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미래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한 점도 인정받았다. 정 의장은 “향후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포스코의 장기적인 가치를 증진하고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적임자라는 데 후보추천위의 뜻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1983년 포스코에 입사해 재무실장, 정도경영실장, 가치경영실장을 거쳐 2017년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고 2018년에는 포스코켐텍 대표이사 사장을 맡았다. 2018년 7월부터 권오준 전 회장의 뒤를 이어 포스코를 이끌어왔다. 특히 포스코가 사회 일원으로 경제적 수익뿐만 아니라 공존·공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시민’으로 발전하겠다는 경영이념을 제시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왔다.연임에 성공했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악화된 실적을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다. 포스코는 지난 2분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적자(별도 기준)를 냈다. 3분기에 2619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한 분기 만에 흑자전환했지만,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