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 유휴부지·섬 등 활용…충남·전남, 태양광 발전 늘린다

충청남도와 전라남도가 공공시설 유휴 부지와 섬을 활용한 태양광 설비 구축 사업을 본격화한다. 충청남도는 환경기초시설에 태양광·소각폐열 시설을 설치하고, 전라남도는 비금도에 국내 첫 주민주도형 태양광 발전 단지를 조성한다.

충청남도는 당진과 보령의 환경기초시설 3개를 대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탄소 중립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29일 발표했다. 탄소 중립 프로그램은 소각장, 폐수·하수처리장, 폐기물처리장 등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공공시설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사업이다. 도는 올해 20억3000만원을 들여 당진 고대부곡하수처리장과 합덕하수처리장, 보령 공공하수처리장 주변 부지와 건물 옥상에 발전 용량 700㎾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설치한다.

연간 발전량은 당진 고대부곡하수처리장 54만2025㎾h, 당진 합덕하수처리장 10만8405㎾h, 보령 공공하수처리장 25만5500㎾h 등 90만5930㎾h 규모다. 지난해 인구 한 명당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1090명이 한 달간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전라남도는 신안군 비금도에서 ‘200메가와트(㎿) 비금주민태양광발전사업’을 8월부터 시작한다. 비금도 주민으로 구성된 비금주민협동조합이 40% 지분을 갖고, 한국수력원자력(29.9%) 호반산업(15.1%) LS일렉트릭(12%) 등이 참여하는 국내 첫 주민주도형 대규모 태양광사업이다. 도는 참여 주민에게 토지 임대료와 40% 지분 투자 배당금으로 20년간 470억원이 돌아갈 것으로 분석했다. 비금면 주민 한 명당 연간 76만원의 수익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도는 지난 3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도민이 참여하고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전라남도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및 도민 참여 등에 관한 조례’를 전국 처음으로 제정해 주민들이 발전 소득을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도와 신안군은 2030년까지 45조4000억원을 투입해 8.2기가와트(GW) 초대형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도 추진 중이다.

홍성=강태우/무안=임동률 기자 kt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