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랠리에…중소형주 펀드 상승 '기지개'

IT·헬스케어 등 성장 업종 공략
마이다스, 올들어 20% ↑ 압도적
코스닥지수 반등이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중소형주 펀드를 다시 소환했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이 국내 주요 펀드 유형 가운데 1등이고, 연간 수익률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급락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전문가들은 중소형주 펀드 중에서도 시장 반등을 이끌었던 정보기술(IT) 및 헬스케어 업종의 편입 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특히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8일 펀드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액티브 주식형 중소형주 펀드 66개는 지난 3개월 동안 평균 7.07%의 수익률을 올렸다. 10개 이상의 펀드가 존재하는 에프앤가이드 주식형펀드 유형 가운데 1위다. 연초 대비 수익률은 0.85%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4월 이후 코스닥시장이 급등하면서 코스닥 종목의 비중이 높은 중소형주 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코스닥지수는 4월 이후 31.67% 급등해 작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소형주 펀드 상위권에는 코스닥 상승을 이끈 IT와 헬스케어 업종에 집중 투자한 상품이 대거 포진했다. ‘마이다스미소중소형주펀드’가 대표적이다. 이 펀드는 중소형주 펀드 가운데 최근 1개월(20.96%), 3개월(17.85%), 연초 대비(19.93%) 모든 구간에서 수익률 1위를 기록할 만큼 압도적인 성적을 내고 있다. 마이다스미소중소형주펀드는 지난 1분기 말을 기준으로 카카오(포트폴리오 비중 4.72%)와 네이버(4.18%)를 가장 큰 비중으로 담고 있다. 두 종목이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급등한 데 이어 엘앤씨바이오(포트폴리오 비중 2.90%, 올해 356% 상승) 등 바이오 종목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수익률 호조에도 설정액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고민거리다. 올 들어 중소형주 펀드에서는 설정액 1938억원이 순유출됐다. 상승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것만으로는 펀드 투자에서 주식 직접투자로 이동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마음을 돌리기에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