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발원지' 中 증시, 수익률은 세계 1위

지난달 CSI300지수 6.8% 올라
다우 10%·독일 8% 하락과 대조
中정부, 대규모 부양책으로 방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금융시장이 큰 타격을 입은 가운데서도 정작 발원지인 중국 증시 수익률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커지자 지난달 춘제(중국 설) 연휴가 끝난 뒤 금리 인하, 유동성 공급 등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쓰면서 증시 하락을 방어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1월 23일 이후 글로벌 증시에서 가장 수익률이 높은 시장은 중국으로 나타났다. 특히 벤처·창업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시장인 차이넥스트(창업판)는 2월 한 달간 15.4%나 올랐다. 선전증시도 12.3%로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을 대표하는 대형주 300개로 이뤄진 CSI300 지수는 6.8%, 상하이지수는 4.9%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주요국 증시가 대부분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과 대비된다. 뉴욕증시는 미국에서도 확진자가 늘어난 2월 20일 이후 연일 급락하며 한 달 수익률이 다우지수 -10.5%, S&P500 -9.1%를 보였다. 이 기간 일본 닛케이지수도 8% 하락했고, 한국 코스피지수도 6.2% 내렸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2월 독일 DAX지수는 8.9%, 이탈리아 대표 지수인 FTSE MIB는 6.3%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50도 같은 기간 9.1% 하락했다.세계 증시가 이처럼 요동친 가운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발원지인 중국만 오히려 상승세를 보인 이유로는 중국 정부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이 꼽힌다. 중국은 코로나19가 확산하자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를 연 4.15%에서 연 4.05%로 인하했다. 또 은행 등 금융권에 제공하는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도 0.1%포인트 낮췄다. 상하이증시는 춘제 이후 첫 개장일인 지난달 3일 8%대 폭락을 겪기도 했지만 이튿날부터 반등해 7거래일 연속으로 오름세를 유지하며 낙폭을 회복했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