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重, 5억弗 채권상환 '청신호'

輸銀과 대출 조건 등 논의 중
탈원전 직격탄에 재무구조 악화
올해 3조원이 넘는 차입금을 갚아야 하는 두산중공업이 급한 불을 껐다. 최대 과제로 꼽힌 5억달러(약 5900억원)어치 해외 채권 상환 재원 마련에 성공했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오는 4월 만기 도래할 예정인 5억달러어치 규모의 해외 채권을 갚기 위해 수출입은행에서 대출받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4월 만기인 해외 채권은 두산중공업이 올해 갚아야 할 채권(약 7300억원)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당초 IB업계에선 두산중공업이 실적 부진과 재무구조 악화로 자금 조달 여건이 나빠져 해당 채권을 상환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있었다.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에 따른 수주 부진으로 지난해 1043억원(연결재무제표 기준)의 순손실을 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300%다.

이번 재원 마련으로 올해 상환 부담을 다소 덜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산중공업이 1년 안에 갚아야 할 단기차입금(지난해 9월 말 기준)은 2조6385억원에 달한다. 과거 발행한 4997억원어치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조기 상환 시점이 곧 도래하는 것도 부담이다. BW 투자자들은 5월부터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현재 주가(14일 기준 5690원)가 신주인수권 행사가격(1만7100원)을 크게 밑도는 것을 고려하면 투자자들이 대거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두산중공업이 자본시장에서 단숨에 수천억원을 조달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신용등급이 ‘BBB’등급까지 떨어져 채권을 발행하기가 쉽지 않다. 주가가 액면가(5000원) 근처까지 주저앉은 상태에서 메자닌(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 발행 또는 주주들을 상대로 한 유상증자도 녹록지 않다. 이런 이유로 두산중공업은 최근 재무적 투자자(FI) 유치와 일부 사업부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