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 모바일 앱으로 사고위험 제보…'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안전경영에 힘쓰는 기업들
현대자동차 직원들이 안전정보시스템에 신고된 내용을 확인하고 개선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현대·기아자동차는 사업장 안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수한 품질의 자동차를 생산하려면 생산 현장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해서다. 국내 최초로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과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한 그룹 차원의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고객과 차량 안전을 지키기 위한 교육 및 캠페인도 확대하고 있다.

안전정보시스템 구축현대·기아차는 생산 현장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사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사고 위험요인을 목격하면 모바일 앱으로 제보할 수 있는 ‘안전신문고’를 2017년 개설한 게 대표적이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안전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안전정보시스템도 구축했다. 그룹 관계자는 “안전신문고와 안전정보시스템을 양대 축으로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안전신문고는 현대차와 기아차를 비롯한 13개 계열사 사업장에서 운영되고 있다. 안전정보시스템은 기존 안전 관련 전산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안전신문고와 연계할 수 있고, 각 계열사의 안전사고 현황 등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다. 우수 개선 사례와 재해 예방 활동 등을 계열사끼리 공유할 수도 있다.

현대·기아차는 이와 별개로 사업장별 점검 및 사고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사고 예방 및 대처 매뉴얼을 쉽고 명쾌하게 재정비하는 동시에 관련 직원들이 매뉴얼 내용을 숙지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공장별 안전을 전담하는 부서도 운영 중이다. 해당 부서 직원은 수시로 사고 예방 활동을 하고 있다.현대차그룹은 안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안전 강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동시에 안전 문화를 확산하겠다는 취지다. 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거나 어린이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게 대표적이다.

상용차 고객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캠페인도 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차 연령이 10년 이상인 노후 상용차 비율이 43.5%에 달한다.

안전 교육도 확대현대차는 상용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내 완성차업체 중 최초로 선제적인 차량 안전 특별점검을 하고 있다. 2017년 전국 우편물류단 소속 트럭 832대의 안전점검을 완료했다. 2510개의 트럭 회사에 소속돼 있는 1만4500대 차량과 1290개 버스 회사에 소속돼 있는 7000대 차량의 안전점검도 했다.

현대·기아차는 또 여름철 집중호우 피해를 본 차량을 점검하는 서비스도 한다. 매년 여름 여름휴가기간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점검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 전국 22개 서비스센터와 1373개 블루핸즈, 기아차 전국 18개 서비스센터 및 807개 오토큐에서 동시에 진행한다. 휴가철 장거리 운행에 앞서 차량 점검 서비스 제공을 통해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 기간에 현대·기아차 서비스 거점을 방문하는 고객 차량을 대상으로 엔진 구동 상태, 냉각수 및 오일 누유 여부, 타이어 공기압, 브레이크 패드 마모도, 각종 등화 장치 점등 상태 등 장거리 운행에 필요한 다양한 점검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량 사고에 취약한 어린이를 위한 행사도 연다. 2009년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에 ‘키즈오토파크 서울’을 개관한 게 대표 사례다. 지난 6월엔 ‘키즈오토파크 울산’을 새로 열었다. 어린이 교통안전체험관이 서울 외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첫 사례다. 국내 최대 규모인 7378㎡ 부지에 다양한 교육시설과 부대시설 등을 갖췄다. 시설 안에는 △안전벨트 체험교육 △보행 교육 △이면도로 차량 하차 후 사각지대 교육 △신규 개발된 코나 미니 전동차를 활용한 주행체험 교육 등 다양한 체험형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 있다.현대차는 2009년 서울 어린이대공원에 어린이 교통안전체험관 키즈오토파크를 열고 지난달까지 10년간 누적 14만2000여 명의 어린이에게 교통안전 교육을 했다. 2014년에는 중국 염성에 키즈오토파크를 열어 연간 3만5000여 명의 어린이에게 교육을 하고 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