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공모주시장의 안정적 투자대상 스팩에 기관 러브콜 쏟아져

▶마켓인사이트 5월22일 오후 2시18분

공모주시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자산으로 꼽히는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으고 있다. 스팩 공모에 참여하려는 기관투자가들이 몰리며 10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낸 사례도 최근 등장했다.
◆기관투자가 수요 급증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유진스팩4호는 지난 16~17일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142.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올 들어 상장까지 마친 스팩 중 유진스팩4호를 제외하고 기관투자가들의 물량확보 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스팩은 한화에스비아이스팩이었다. 이 스팩은 21.0대 1의 수요예측 경쟁률을 올렸다.

유진스팩4호와 한화에스비아이스팩을 제외한 올해 상장 스팩 수요예측 경쟁률 평균치는 2.8대 1이다. 스팩의 수요예측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긴 것은 지난해 9월 상장한 IBKS제10호스팩(118.8대 1) 이후 8개월 만이다.스팩은 비상장회사와 합병해 해당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정해진 기간(공모 후 30개월) 안에 비상장사와의 합병에 실패해 청산한다하더라도 투자자들은 원금 전액을 돌려받고 정해진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안정적인 대신 기대 수익률은 천차만별이다. 우량한 비상장사와 합병이 성사되면 스팩의 주가가 뛰어 고수익을 낼 수 있지만, 합병하지 못하고 청산하면 시중의 확정금리형 상품보다 낮은 수익률을 얻는 데 그칠 수도 있다. 이같은 점이 투자자들에게 알려지면서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본 100대 1이상을 기록했던 2015년 이후 스팩 공모 경쟁률은 그다지 치열한 편이 아니었다.

◆한화스팩 고공행진 영향유진스팩4호가 높은 수요예측 경쟁률을 올린 것은 직전에 상장한 한화에스비아이스팩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화에스비아이스팩은 지난 3일 코스닥시장 상장 후 22일까지 13거래일 중 6거래일에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지난 13일엔 공모가(2000원)의 4배 수준인 7800원으로 장을 마친 뒤 조정에 들어가 22일엔 5300원으로 마감했다. 금융감독당국은 이와 관련해 시세조종 등 불공정 거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한화에스비아이스팩의 급등은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면서도 “이 종목의 강세를 계기로 공모가로 스팩에 투자하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없다는 점 등이 부각돼 기관들이 스팩을 주시하게 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올해 신규 상장한 스팩 주가가 모두 공모가를 웃돌고 있다는 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옥석 가리기 시작되나

조만간 스팩들 가운데 옥석이 가려지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 들어 5개 스팩이 신규상장했고, 5개가 추가로 상장 일정을 확정지었다. 이들 이외에 이미 40여개의 스팩이 상장돼 있다.

스팩 상장이 크게 늘어나면서 우량 비상장사를 발굴해 짝짓기할 수 있는 역량에 따라 스팩간 희비가 갈릴 것이란 관측이다. 스팩 전문 투자자문사인 ACPC의 남강욱 부사장은 “비상장사와 스팩의 합병 건수는 연평균 10~15건이며, 나머지는 청산에 들어간다”며 “증권사의 스팩 공모자금 운용능력, 발기인들의 합병 대상 비상장사 발굴역량 등에 따라 스팩 공모의 흥행 여부가 크게 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