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2·27 全大' 예정대로…황교안 뺀 당권 주자들 모두 '보이콧'

비대위 "원안대로 가야"
박관용 선관위원장 "장소 등 현실적 어려움 고려해 결정"
TV토론 횟수, 최대 6회로 확대

전당대회 파행 가능성
심재철·정우택·안상수 등 "최소 2주일 이상 연기해야"
홍준표·오세훈 "불출마 불사"
자유한국당 주요 당권 주자들이 8일 일제히 전통 지지 기반인 영남 지역을 방문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왼쪽)와 홍준표 전 대표(가운데)가 각각 대구 서문시장과 경남 창원 마산어시장을 찾아 상인들과 인사하고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오른쪽)은 경북 안동문화대에서 특강을 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8일 새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이달 27일 열기로 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뺀 나머지 당권 주자들이 미·북 정상회담 일정(27~28일)과 겹치는 전대 개최일을 미루지 않으면 전면 보이콧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전대가 파행으로 치달을 위기에 빠졌다.

비대위 “연기는 국민에 대한 예의 아냐”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전대를 예정대로 개최하기로 의결한 당 선거관리위원회 결정을 수용했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천재지변이나 경천동지할 정변이 없는 한 공당의 지도부를 뽑는 전대에 대해선 원칙을 지키는 게 맞다”며 “흥행을 이유로 전대를 연기하는 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밝혔다. 당권 주자인 홍준표 전 대표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심재철·주호영·정우택·안상수 의원은 전대를 예정대로 열 경우 미·북 정상회담에 묻힐 위험이 있다는 이유를 들어 2주일 이상 연기를 주장해 왔다.

김 위원장은 이와 관련, “미·북 정상회담의 결과는 27일이 아니라 28일 발표된다”며 “27일 이전에 당대표 후보 간 TV 토론과 합동 연설회 일정이 모두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원안대로 전대를 여는 게 흥행 효과 면에서도 합리적”이라고 했다. 그는 “28일 후엔 남북한 정상회담 이슈가 급부상할 텐데 그땐 또 남북 정상회담 날짜를 피해 전대 개최일을 정해야 하는 고민에 빠지지 않겠느냐”며 “김정은이 우리 당의 전대 시기를 결정하는 꼴이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비대위 회의에 앞서 전대 시기와 경선 룰(규정) 변경 여부를 논의한 선관위의 박관용 위원장도 브리핑을 통해 “당 안팎 상황을 충분히 고려했고 전대 개최 시기는 정해진 일정대로 하자는 것으로 만장일치 의견을 보였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전대 장소(경기 고양시 킨텍스) 대관과 여론조사 시행을 정해 놓은 상태에서 일정을 연기하는 건 물리적으로 어렵다”며 “전대를 원칙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한국당 지도부는 다만 주요 당권 주자들이 TV 토론 횟수를 6회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TV와 유튜브 생중계까지 포함해 충분히 하겠다”고 했다. 선관위가 당초 결정한 TV 토론 횟수는 2회였다. 홍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선관위가 TV 토론을 최소화해 특정 후보(황 전 총리)에 대한 검증 기회를 안 주려 한다”며 “이런 식으로 하려면 선거를 하지 말고 그냥 추대하라”고 비판했다.

황교안에게 유리한 결정…당내 반발 변수

황 전 총리는 지난 6일 낸 입장문에서 “정해진 27일에 맞춰 준비하고 있고 일정대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당에서 판단해 결정한다면 그 뜻을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전대가 예정대로 열려야 한다는 데 방점을 둔 것이다.당 안팎에선 비대위와 선관위의 이날 결정을 두고 황 전 총리에게 지나치게 유리하게 기울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황 전 총리와 김진태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6명의 당권 주자는 전대 불출마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홍 전 대표는 비대위 결정 직후 “전대 일정을 미루지 않으면 불출마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다. 앞서 이날 오후 심재철·주호영·정우택·안상수 의원은 공동 합의문을 내고 “전대 개최 시기를 조정하지 않으면 전면 보이콧할 것이며, 홍 전 대표와 오 전 시장도 이에 구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홍 전 대표는 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도 “이번 전대가 예정대로 열리면 남북 평화 프레임에 함몰돼 의미가 없어질 것”이라며 “당의 잠재적 대권 주자들이 모두 출전하는 만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전 시장은 “다른 후보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전대를 보이콧하겠다”며 “당의 결정에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현역 의원들의 보이콧 의사는 더 완강했다. 심 의원은 “12일 당대표 후보자 등록을 거부하겠다”며 “황 전 총리와 김 의원만 출마하는 전대 한번 치러 보라”고 했다. 안 의원도 “당 지도부가 당대표 후보 알기를 우습게 여기는 것 같다”며 “어떻게 살린 당인데 컨벤션 효과(전대 전후 당 지지율이 오르는 것)를 제로로 만든다는 거냐. 등록을 거부하겠다”고 했다. 정 의원은 “선관위가 왜 이렇게 무리수를 두는지 모르겠다”며 “12일 전까지 보이콧을 이어갈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의원도 “이번 주말에 다른 후보들의 의견을 물어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6명의 당권 주자가 보이콧을 이어갈 경우 이번 전대의 당대표 경선은 황 전 총리와 김 의원 간 양자 대결로 치러질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되면 친박(친박근혜)계 맹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황 전 총리가 어렵지 않게 당권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들 주자의 또 다른 요구인 TV 토론 횟수 확대가 받아들여질 공산이 큰 만큼 모두가 불출마할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도 나온다. TV 토론 횟수 확대 요구엔 황 전 총리에 비해 열세인 이들 주자가 보다 많은 토론을 통해 정치 신인인 황 전 총리에게 타격을 주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