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S도 동반성장…증권사들 격전

급성장하는 '한국형 헤지펀드'
헤지펀드에 신용공여·증권대차·자문·리서치 제공

수수료 수익 年 1000억원대
삼성證, 매출 6兆 돌파하며 1위
한국형 헤지펀드의 순자산 규모가 급증하자 증권회사들의 프라임브로커리지(PBS) 사업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PBS는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신용공여, 증권대차, 자문, 리서치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6개 증권사가 이 사업을 하고 있다.

업계 1위는 삼성증권이다. 삼성증권의 PBS 매출(수탁고)은 지난해 6조1713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최초로 6조원을 돌파했다. 2017년 말 3조5407억원에서 1년 만에 74.3% 늘었다. 시장 점유율은 작년 말 기준 25.6%다. 삼성증권은 2016년 초만 해도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대우에 이어 3위였지만 공격적인 영업으로 선두에 올라섰다. 2, 3위 업체의 추격도 거세다. 미래에셋대우의 PBS 매출은 작년 말 4조6419억원으로 2017년 말 1조5965억원에서 두 배 이상 늘었다. 업계 2위인 NH투자증권(4조8836억원)의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한국투자증권(3조7374억원)과 KB증권(3조3453억원)도 규모를 빠르게 늘리고 있다.

PBS사업은 자본시장법에 따라 자기자본 3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만 할 수 있다. 현재 자격이 되는 8개 증권사 중 메리츠종금증권과 하나금융투자를 제외한 6곳이 사업을 하고 있다. 이들 두 곳도 PBS사업 진입 시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증권사가 PBS시장에서 경쟁하는 이유는 헤지펀드 규모가 커지면서 PBS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는 운용 중인 24조원대 헤지펀드를 통해 PBS로 올릴 수 있는 수익을 1000억원대로 보고 있다. 한 증권사 사장은 “골드만삭스 같은 글로벌 투자은행(IB)은 PBS가 주요 수익원”이라며 “아직은 서비스 제공 대상이 수익성 낮은 채권형 헤지펀드 위주지만 다양한 전략을 쓰는 헤지펀드가 늘면서 PBS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