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빔]전기차, '가중전비'를 들어보셨나요?

-EV 구매보조금 차등은 '가중전비' 때문
-동일 지원금 반대한 곳은 '제주도'

일반적으로 '가중(加重)'은 무언가 부담을 더 지우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법적인 처벌을 엄하게 할 때 사용하는 '가중처벌', 업무 부담이 확대되는 '가중업무' 등 일상에서 '가중'이라는 말은 흔하게 활용된다. 그러나 '전비(電比)'는 조금 생소한 단어로 전기차 등장과 함께 나타났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효율을 의미하는 '연비(燃比)'와 같은 뜻이다. 그래서 단위도 내연기관이 'ℓ/㎞'일 때 전비는 '㎾h/㎞'로 표시된다. 그런데 가중전비가 왜 갑자기 중요해졌을까? 전기차 보조금 차등의 기준이 바로 가중전비에 있기 때문이다.

현재 판매되는 여러 전기차의 중앙정부 보조금은 조금씩 다르다. 아이오닉 EV 1,127만원, 쏘울 EV 1,044만원, 쉐보레 볼트 EV 1,200만원, SM3 Z.E. 1,017만원, 테슬라 전 차종은 1,200만원이다. 여기에 자치단체별로 최소 440만원(전남 강진군)에서 최고 1,100만원(전남 여수)까지 추가 지원을 해준다. 그러니 전기차 구매할 때 보조금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어떻게 보조금 차이가 결정됐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직접 연구를 주도한 인물을 찾아 자세한 설명을 들었다.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하지만 갸우뚱하기도 한다. 왜 그랬을까.

▲차등 발단은 제주도에서
사실 모든 전기차의 동일 금액 지원을 반대한 곳은 제주도다. 짧은 주행거리의 불편함을 해소하려면 배터리용량이 커져야 하는데, 지원금이 동일하니 제조사가 배터리 용량을 키우지 않는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그래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줄기차게 보조금 차등 적용을 요구했고 환경부도 이를 받아들여 2018 전기차 보조금 차등 지급 방안을 확정했다.
기본적인 구조는 배터리용량이 클수록 보조금에 유리한 구조로 설계됐다. 물론 해마다 1회 충전 주행거리와 효율의 반영 비율이 조금씩 달라지겠지만 보조금 차등이 처음 시작된 올해는 효율보다 주행거리 우선이 역력했다. 여기에는 복잡한 공식이 하나 적용됐는데, 수식은 아래와 같다.

보조금=기본금액+(배터리용량*(단위보조금 17만원*(가중전비/최저가중전비)))

먼저 기본은 모든 전기차에 일괄 지급되는 것으로 금액은 350만원이다. 그리고 기본 금액에 더해지는 보조금은 배터리가 클수록 높아지는 곱하기로 설계돼 있다. 그렇다면 효율은 어디에 반영됐을까? 바로 '가중전비'에 숨어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기온에 민감한 만큼 여름철과 겨울철 효율이 다르다. 그래서 1년의 25%에 해당되는 겨울철 효율과 나머지 75%의 여름철 효율을 섞어 '가중연비' 개념을 만들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