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출생아 급감 속 빈집 확산…인구절벽에 따른 부동산값 폭락 신호인가?

3년 전이었지요? 당시 여름 휴가철에 필독서로 해리 덴트의 ‘인구절벽’이 추천됐었는데요. 10년 주기설에 따라 2008년 금융위기에 이어 차기 위기 발생연도로 지목됐던 2018년 이후 한국 부동산 시장이 인구절벽에 따라 장기 침체에 접어들 것이라는 이 책에서 예상이 의외로 큰 관심을 끈 적이 있습니다. 올해가 바로 인구절벽이 온다는 그 해인데요.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통계를 보면 인구절벽 우려를 입중이라 하듯이 충격적인 내용이 발표돼 오늘은 이 문제를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어제 통계청에서 인구관련 통계를 발표했는데요.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 않습니까?-통계청, 올해 5월 인구관련 동향 통계 발표

-출생아, 2만 7900명으로 전년동월비 -7.9%

-2015년 12월 이후 30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2016년 4월 이후 26개월 최저치 갱신 행진

-3만명 밑돈 것은 81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출생아수가 급감함에 따라 ‘인구절벽’이 앞당겨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원래 이 용어를 사용한 해리 덴트는 다른 뜻으로 사용했지 않았습니까?-2010년 재정절벽 이후 ‘OO절벽’ 용어 유행

-해리 덴트는 ‘인구통계학적 예측기법’ 애용

-한국은 출산율이 낮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베이비붐 세대 은퇴 이후 자산계층 못받쳐

-핵심자산계층인 45∼49세 2018년 은퇴시작

시청자분도 어느 정도 감을 잡고 계실 줄 알고 있습니다만 왜 출생아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입니까?

-길게 보면 1970년대 산아제한정책 악순환 반복

-전통적으로 ‘남아선호 사상’도 직간접적인 원인

-1980년대 중반 이후 남녀 성비 크게 흐트러져

-30∼35세 여성수와 결혼한 여성수 급격히 감소

-급증하는 결혼비용과 여성지위 상승 등도 가세

인구가 특정국의 경제발전이나 부동산 가격결정에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이론’을 갈수록 주목받고 있지 않습니까?

-특정국 경제, 인구 절대수와 질에 따라 좌우

-인구정책, 자국민 ‘리쇼어링’과 글로벌 해법

-부동산 등 자산시장, 자산계층에 따라 예측

-자산계층, 자가 소유용 부동산 매입하는 계층

-덴트, 버블론 ‘35∼55세’, 인구절벽 ‘45∼49세’

3년 전 여름철 필독서로 유행했던 ‘인구 절벽’에서 해리 덴트는 한국 부동산 시장이 장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예상했지 않았습니까?

-1970년대 이후 산아제한 정책 추진, 신생아 급감

-2018년 이후 한국 ‘45∼49세’ 핵심소비계층 급감

-한국 부동산, 특히 강남 집값 ‘장기 침체’ 빠질 것

-2016년 말 5대 은행장, 17년 집값 15% 폭락 예측

-부동산 침체될 때마다 해리 덴트 예상 자주 인용

그래서 인가요? 요즘 들어 출생아수가 급감하고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의외로 심각함에 따라 해리 덴트의 예상이 또 거론되고 있지 않습니까?

-현 정부 들어 강도 있는 부동산 대책 추진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자영업자 경기 급락

-전국 빈집 112만 가구, ‘시카고 공포’ 확산

-캄캄한 ‘울산’ 썰렁한 ‘군산’…기업 떠난 도시 ‘적막’

-상가 공실률 급증, 강남 논현동도 20% 달해

부동산 시장 뿐만 아니라 우리처럼 출산율이 낮은 상황에서 고령화가 빨리 진행될 경우 우리 경제 앞날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겠습니까?

-잠재성장률,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 의미

-옥스포드 이코노믹스, 잠재성장률 발표

-중국, 과거 15년 9.4%->향후 10년 5.5%

-인도, 과거 10년 7.1%->향후 10년 6.2%

-한국, 과거 10년 3.3%->향후 10년 2.2%

-인구보완 이뤄지지 않을 경우 0%대로 추락

현 시점에서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말씀해 주시지요. 한 차례 짚어드린 적이 있습니다만 ‘인구절벽에 따른 2018년 이후 한국 부동산 시장의 장기 침체론’은 믿어도 되는지도 함께 말씀해주시지요.

-경제정책, 당위성이 있더라도 때와 여건 중요

-부동산 대책, 지역별 차별화 속 ‘연착륙’ 중요

-국적 포기자 주목, 세금감면 등 인센티브 제고

-출생률 보완, 경제성장->소득증대->가정행복

-글로벌 해법, 이민정책 전향적으로 검토할 때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

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

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

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