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파격적 진전… 트럼프 전방위 압박 통했나

트럼프 '완전파괴' 거친 언사와 제재로 대북압박 '올인'
정의용 "압박으로 현시점에"…북 비핵화행동 옮길지 주목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우리 정부의 대북 특사단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조속한 만남을 희망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오는 5월 안에 만나겠다는 의사를 표시함으로써 한반도 정세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게 됐다.지난 2011년 권좌에 오른 이후 핵실험과 장거리 탄도미사일 실험을 잇따라 실시하며 비핵화를 완강히 거부하던 김정은 위원장이 우리 대북 특사단을 통해 비핵화 의지를 처음으로 밝힌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파격 제안을 한 것이다.

김 위원장의 태도가 이처럼 돌변한 것은 북한으로 흘러들어 가는 돈줄을 바짝 죈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대북압박에 마침내 북한이 반응한 것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관측이 나온다.

미국을 방문 중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한 후 브리핑을 통해 "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최대 압박정책이 국제사회의 연대와 함께 우리로 하여금 현시점에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외교적 수사일 수도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압박정책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나오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을 일정 부분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도 "지금껏 전 세계가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에 직면하게 될 것"(지난해 8월),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 한다면 우리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을 것"(지난해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 김정은 위원장의 핵 버튼 발언에 대해 자신은 더 강력한 핵 버튼이 있다면서 "내 버튼은 작동도 한다"(1월) 등의 거친 언사로 북한을 거세게 몰아붙였다.

북한도 이에 격하게 반응하면서 북미 간 물리적 충돌 우려가 증폭되기도 했었다.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11월에는 9년 만에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고, 지난달에는 북한의 제재 회피를 도움 혐의로 선박과 해운사를 비롯한 기업, 개인 등 총 56곳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 해상차단을 단행하는 등 지속적인 대북 독자제재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주도로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에 대한 정유제품과 원유 공급을 제한하고, 북한의 주력 수출품인 석탄 수출을 전면적으로 막는 등 북한의 급소를 찌르는 대북제재 결의가 잇따라 채택됐다.

북한이 이 같은 전방위 압박에 북한 정권은 내부적으로 적지 않은 고통을 느껴왔다는 해석도 나왔다.김정은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자신들에 대한 "반공화국 고립압살 책동은 극도에 달했다"며 "우리 혁명은 유례없는 엄혹한 도전에 부닥치게 됐다"고 언급한 것도 제재에 따른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표시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북한은 '제재 피해 조사위원회'라는 조직을 만들었으며, 이 위원회는 지난해 담화를 통해 "우리 국가와 인민을 완전히 말살할 것을 노린 미국의 제재 책동은 동서고금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극악한 범죄로서 그것이 우리 국가의 발전과 인민생활에 끼친 피해와 손실은 헤아릴 수 없이 막대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내기는 했지만,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실제 행동으로 옮길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만만치 않다.

일각에서는 제재를 회피, 완화하기 위한 북한의 제스처라는 해석도 없지 않다.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최종 정상회담 합의까지 북미는 서로의 의지를 탐색하며 치열한 샅바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이며, 북핵 문제의 최종 해결까지는 여전히 적지 않는 난관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