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플레이션`에 은행권도 비상...가계부채·한계기업 부실화 우려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급격히 확대되고 있습니다.은행권도 내년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트럼플레이션에 따른 급격한 금리 상승을 꼽고, 자본 확충 등 건전성 유지를 위한 비상체제를 가동했습니다.조연 기자입니다.`대규모 감세, 인프라 투자, 규제 완화` 등을 외치며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3~4%대로 올리겠다고 선언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트럼프의 경제활성화 공약으로 향후 인플레이션, 이른바 트럼플레이션을 촉발할 것이란 전망 속에 연일 채권금리는 치솟고, 달러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동원 국제금융센터 금융시장실장"신흥국에서 자금이 이미 빠져나가고 있고, 금융 뿐 아니라 실물경제에서도 수출이 차질을 빚는 등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본유출에도 악영향을 줄 것"글로벌 자금 조달비용 상승으로 은행들도 비상이 걸렸습니다.금리 급등 가능성이 국내은행의 내년 가장 핵심적 리스크이며, 저소득층과 다중채무자, 한계기업의 상환능력 악화 등 비상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습니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행권에는 금리가 가장 큰 변수이다. 금리는 빠르게 오르고, 은행이 충분한 완충력을 갖지 못한다면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을 것. 기업구조조정도 지연될 수 있다."미국의 보호주의 확대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의 수익성이나 투자가 저조해지고, 향후 기업수익성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 등 위험요인이 결합돼 큰 위기로 커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국내 은행들이 규제기준을 웃도는 자기자본 비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라며, 스트레스테스트를 강화하고 위험가중자산 산출기준을 높이는 등 방어적인 자본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한편,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대출금리 상승은 시장 조달금리 급등에 기인한 것이며, 가산금리 폭 확대가 은행권의 이익 증가로 연결되는 것은 아닌만큼 수익원을 다각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조연기자 ycho@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마동석과 개그 코드 잘 맞는다던 예정화, SNS선 아재 개그? "촬영 대기하다 미쳐버림"ⓒ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