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수질평가방법 2006년까지 마련

지금까지 수질오염의 지표로 쓰였던 용존산소량 중심의 오염여부 평가에서 벗어나 하천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 퇴적물의 종류와 양 등을 이용해 오염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오는 2006년까지 마련된다. 환경부는 21일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수질 종합평가방법 마련을 위한 협의회' 발족식을 갖고 류재근 환경기술진흥원 원장 등 전문가 60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수질오염 척도로 흔히 쓰여온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비롯해 총질소량(T-N), 중금속 함유 농도 등 `이화학적 지표'는 측정 당시 특정지점의 오염 상황만을 표시하고 생태계를 통해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번에 구성된 협의회는 생물학, 이화학, 부영양화, 퇴적물 등 4개 분과로 나눠 오염정도에 따라 서식하는 생물 종류, 유해물질 농도에 따른 오염 평가기준, 질소 등 영양물질의 농도에 따른 미생물 발생 상황,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각각 연구해 오염도 측정을 위한 지표를 마련한다. 환경부는 "선진국에서는 지난 1990년대부터 물에서 사는 생물 종류에 따라 수질을 측정하는 생물학적 지표를 도입하고 이화학적 지표는 보조 척도로 사용해 왔다"며 "우리나라의 강, 호수 등을 정밀 조사해 우리나라에 맞는 수질평가방법을 만들겠다"고 사업 취지를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smile@yna.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