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소싱 대표 주자들] '이정원 코리아템프스텝 사장'

이정원 코리아템프스텝 사장은 아웃소싱으로 잔뼈가 굵은 이 분야의 터줏대감으로 통한다. 이 사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아웃소싱업체라 할 수 있는 한국산업안전에서 첫 직장생활을 시작한 후 지난 20여년간 줄곧 한 우물만 파왔다. 이 사장이 아웃소싱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아웃소싱이 국내 시장에서 제대로 뿌리를 내리고 올바른 평가를 받기 위해 스스로 느끼고 있는 책임감도 누구보다 크다. "무엇보다 코리아템프스텝이 잘 돼야 한다는게 제 소신입니다. 우리 직원들이 만족스럽게 회사생활을 한다면 이는 곧 아웃소싱산업 발전의 밑거름으로 작용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사장은 직원 복지향상에 투자하는 돈이 아깝지가 않다. 업계에서도 소문이 자자할 정도다. 직원 1천6백여명의 생일과 경조사를 빠트리지 않고 일일이 챙긴다. 1년 이상 근무한 파견직 직원들은 무조건 퇴직금신탁에 가입시켜 '행여 회사가 잘못되더라도' 퇴직금의 60%를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여름 휴가철 직원들이 휴양지 등에서 재충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콘도시설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파견직 직원들의 어려운 점 등을 사장 자신이 직접 듣고 해결해 주기 위해 '이메일 신문고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우리 회사 직원들이지만 남의 회사에서 근무하는 등 파견직 근로자 신분은 좀 독특합니다.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사기진작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직원들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 덕분에 회사는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텔레마케터(전화상담원)를 공급하는 인재파견, 창고를 위탁관리하는 물류유통, 건축물을 종합관리하는 시설관리, 인터넷 취업사이트인 잡모닝(www.jobmorning.co.kr) 등이 핵심 업무인 이 회사는 설립 4년만에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동종업계에서도 부러운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다. 98년 첫 해 1억6천만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1백35억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매출목표는 2백50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려 잡고 있다. 전문화와 자율성에 초점을 맞춰온 이 사장의 '뚝심' 경영도 회사가 흔들림 없이 발전하는데 한 몫을 단단히 하고 있다. 올 하반기쯤 인재파견, 물류유통, 시설관리 등 3개 부문을 별도의 전문기업으로 분사할 계획이다. "전문화만이 살 길입니다. 백화점식으로 이것저것 하다보면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시장성이 좀 있다고 판단한 업체들이 난립해 과당경쟁 등으로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화 없이는 앞으로 살아나기 점점 힘들어지기 때문이죠" 자율경영체제는 이미 대전과 부산지사에서 도입해 실시중이다. 서울 본사의 지원기능과 지사의 관리기능을 절묘하게 조화시켜 운영할 때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따라서 지사장들은 본사에 업무와 관련해 일일이 보고하지 않아도 된다. 직원 채용, 업무 확장 등은 모두 지사장이 알아서 하면 된다. 물론 거기에 따른 책임도 지사장의 몫이다. 이 사장은 "철저한 자율경영을 유도해 경영의 자율권을 대폭 주되 거기에 따른 책임도 함께 지도록 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익이 발생하면 직원들에게 과감히 돌려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웃소싱의 터줏대감답게 이 사장은 업계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낱낱이 파악하고 있다. 한국아웃소싱기업협회 활동 등을 통해 이를 하나하나 바로잡아 나갈 생각이다. 신종업종이다보니 법.제도적 장치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한 점이 안타깝다. 무엇보다 인재파견 기간이 2년으로 제한돼 있어 직원활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원을 현업에 투입해 교육시키는데 6개월 정도 소요하고 나면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간은 기껏 1년여 정도라는 것이다. 파견직원들이 업무를 제대로 파악하고 일을 할 만하면 그만둬야 한다는 설명이다. 판매직원, 간호 보조원 등 백화점 병원 등에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부문은 인재파견업에서 빠져 있어 기업들에 실제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며 하루빨리 이들 직종도 파견업에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웃소싱업체의 특성을 무시한 채 직원수 매출만을 기준으로 이들 업체를 대기업으로 분류해 중소기업에 지원되는 각종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사장은 그러나 "최근들어 산업자원부 등 정부차원에서 아웃소싱의 경제적 순기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뤄지고 있다"며 "앞으로 이같은 법적.제도적 장치들도 하루빨리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