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섭 사장 "마이크론에서 양해각서 초안 전달"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의 5차협상을 마치고 13일 귀국한 하이닉스반도체 박종섭 사장은 "(귀국을 위해)공항으로 막 떠나려는 순간 마이크론측으로부터 팩스로 양해각서(MOU) 초안을 전달받았다"며 "앞으로 일주일 이내로 MOU 체결여부에 대해 최종 선택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매우 밝은 표정으로 이날 오후 7시께 샌프란시스코발 싱가포르 에어라인 015편으로 인천공항에 도착, 30여분간 기자들과 인터뷰를 가졌다. 다음은 박 사장과의 일문일답. -- 마이크론과의 5차 협상을 총평해달라. ▲마이크론과는 메모리가격 외에도 여러 부대조건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양해각서(MOU) 초안이 총 20여쪽이 넘는 수준이다. 가격 하나만 갖고 결정할 수는 없고전체적인 계약내용을 놓고 결정해야 한다. 이번 협상에서 100% 합의를 본 것은 아니지만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한도로 합의를 봤다. 앞으로 이사회와 채권단 회의 등의 추인절차가 남아있어 사인(Sign)은 하지 않았다. 일주일내로 마이크론과의 양해각서 체결여부가 결론내려질 것으로 본다. -- 협상의 최대쟁점이 메모리부문 매각가격이었는데, 어느정도 수준에서 합의를봤나. ▲마이크론은 그동안 인수가격을 처음 20억달러 초반을 제시했다가 30억달러 초반으로 높였고 이번 협상에서 다시 가격을 올렸다. 구체적인 가격은 여기서 말할 수없다. 기본적으로 채권단이 요구하는 수준을 맞췄다고 보면 된다. (기자들이 `40억달러에 합의를 봤느냐'고 채근하자) 대략 그 정도 수준에서 의견을 같이했다고 보면 된다. -- 양사가 결국 100% 합의를 본 것인가. ▲100% 합의라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마이크론이 본인이 얘기한 내용을 최대한 수렴했다. 공항으로 출국하기 직전 마이크론으로부터 팩스로 양해각서 초안을 전달받았다. 마이크론 경영진과는 그동안 수차례 회담을 했고 팩스.전화 등으로 의견을 자주 교환했다. 채권단과도 협상도중 수시로 의견을 나눴다. -- 메모리부문은 마이크론으로 완전히 넘어가겠지만 잔존법인인 비메모리법인의 생존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은 마련됐는가. 마이크론측이 채권단으로 하여금 신규자금을 투입하라는 요구조건을 내걸었다고 보도가 있었는데. ▲그건 마이크론과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하이닉스)와 채권단이 논의할 사안이다. 그러나 마이크론으로서도 잔존법인에 지분을 출자하는 만큼 모회사가 건전한 재무조건을 갖추도록 하는데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특히 부채구조에 대한 많은 신경을 쓰고 있고 사전에 충분히 의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부채탕감은 마이크론이 직접적으로 요구할 사안은 아니지만 잔존회사의 생존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부채탕감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 -- 인피니온도 인수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좋다, 안좋다고는 현재 말하기 어렵다. 인피니온과도 협상은 계속되고 있다.마이크론과는 워낙 인수방식이 다르고 장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인피니온측의 제안도 충분히 검토를 해볼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어디가 낫다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 어렵다. 일주일내로 양사가 제시한 방안에 대해 충분히 비교.분석할 방침이다. 일주일안으로는 어느쪽이든지 최종선택이 이뤄질 것이다. 기본방향만 정해지면 MOU는 금방체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마이크론과 인피니온 외에 제3의 대안은 없는가. ▲이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가능성은 모두 트라이(Try.시도)해본 셈이다. 외자유치, 채무재조정, M&A 등을 다 해봤다. 더이상의 옵션은 없다. 이제는 채권단과 구조특위, 이사회 등이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방안만 남아있다. 시간을 끌기에는 산업환경이 너무나 빨리 변화하고 있다. 세세한 조건에 관해서는 앞으로 충분히 조율할수 있다고 본다. 순수한 의미의 독자생존론은 너무 이론적이어서 의미가 없다고 본다. 어찌됐건 D램 업계는 하나로 통합해야 투자가들이 기업가치를 인정하려고 할 것이다. 인피니온이건, 마이크론이건 혼자만으로 살기는 어렵다. -- 종업원들의 고용승계 문제는. ▲고용문제는 생각보다 저쪽(마이크론)이 적극적으로 나왔다. 마이크론이 오히려 고용승계를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고용문제는 잘 해결될 것으로 본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