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8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한 뒤 청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8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한 뒤 청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28일 지명된 지 엿새 만에 후보직을 전격 사퇴했다.

세월호 참사 여파를 수습하기 위한 구원투수로 긴급 투입된 안 후보자가 법조계의 전관예우 비판 여론에 밀려 낙마함으로써 박근혜 정부는 앞으로 국정 운영에 큰 부담을 안게 됐다.

안 후보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러모로 부족한 제가 더 이상 총리 후보로 남아 있는 것은 현 정부에 부담이 될 것”이라며 “저의 버팀목이자 보이지 않는 힘이 돼준 가족과 저를 믿고 사건을 의뢰한 의뢰인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도 너무 버겁다”고 사퇴의 변을 밝혔다.

총리 후보자의 낙마는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후보직 사퇴에 이어 두 번째다. 하지만 정권 초기와는 상황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에서 앞으로 정국에 일대 파란이 예상된다.

안 후보자가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후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 등 공직사회의 개혁을 추진할 간판으로 내세운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박 대통령은 ‘국가개조’를 추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인사에 실패함으로써 앞으로 신뢰와 리더십의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 6·4 지방선거를 전후한 내각과 청와대 개편 등의 일정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정부와 청와대의 개편은 당초 박 대통령의 구상보다 훨씬 더 큰 폭으로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안 후보자는 지난 22일 세월호 참사 대처에 실패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의 후임으로 전격 지명됐다.

그러나 대법관 퇴임 후 지난해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뒤 5개월간 16억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드러나자 ‘전관예우’ 논란에 휩싸였으며 야당의 사퇴 공세에 직면했다. 박 대통령이 언제 새로운 총리 후보자를 지명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주용석/도병욱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