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코넬대 연구팀은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이 메달을 받는 순간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은메달 수상자보다 동메달 수상자의 행복감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는 ‘끝이 좋았느냐의 차이’ 때문이다. 등수는 은메달이 더 높지만 마지막 경기의 승리 여부에 따라 심리 상태가 역전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선택’을 하는 존재로 전제하고 이론을 전개한다. 하지만 올림픽 선수의 심리 상태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은 완전히 합리적인 존재로 보기 어렵다. 심리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대니얼 카너먼은 고정관념에 기반한 인간의 두루뭉술한 사고와 편향에 대해 연구해 이를 입증했고, 그 공로로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오락가락, 선택은 어려워》는 이 같은 카너먼의 행동경제학 이론을 역사·문화·생활 속 이야기로 풀어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 카너먼은 사람의 사고체계를 ‘시스템 1’과 ‘시스템 2’로 구분한다. 시스템 1은 직관과 빠른 사고를 가리킨다. 시스템 2는 시스템 1에 의한 판단을 피드백하고 심사숙고하는 느린 사고다.

길을 걷다 누군가 나를 부르는 소리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2+2’와 같은 간단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시스템 1에 속한다. 시끄러운 방에서 한 사람의 목소리에 집중하거나 추리소설에서 사건에 대한 복선을 찾아내는 것은 시스템 2에 해당한다. 정보가 부족하면 머릿속 시스템 1은 서둘러 결론을 내리게 된다. 이는 과신과 편향을 유발하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인 저자는 기존 경제서나 경제학 교과서와 달리 경제학자가 직접 이야기하듯 전달해 재미를 더했다. 각 단원과 관련된 수능, 논술 기출문제를 연계해 학습 효과를 높였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