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가을

《호모루덴스》로 유명한 요한 하위징아가 중세 유럽의 문화와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다. 1919년에 나왔다. 저자는 노쇠한 중세가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인 14~15세기를 ‘가을’로 규정한다.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로 나아가는 시기다. 암흑기라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중세는 더 나은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었던 시대이며, 그 속에 화려한 인본주의의 씨앗을 갖고 있었다. 그 씨앗이 가을에 열매를 맺듯 르네상스로, 근대로 넘어가게 된 것이다. 저자는 또 중세를 ‘대조의 시대’라고 말한다. 빈자와 부자, 도시와 시골 같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것들이 공존했고, 중세는 그 두 극단을 오가면서 근대로 이동해갔다는 것. 기사도 정신, 금욕주의 등에 대한 미시적 통찰도 보여준다.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연암서가, 776쪽, 3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