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으로 공기업 재무제표를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라 작성한 결과 공기업들의 지난해 부채가 전년에 비해 84조원이나 증가하는 충격적 수치가 나왔다. 이는 지난해 국가 부채(420조원)의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반면 지난해 공기업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조6000억원이나 줄었다.

26일 한국경제신문이 전체 공기업 27곳의 지난해 결산자료를 집계한 결과 총 부채가 328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이들 공기업의 총 부채는 244조6000억원이었다. 1년 만에 무려 83조7990억원 늘어난 것이다. 증가율은 34.2%에 이른다.

공기업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은 주요 공기업의 부채성 자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다 모회사와 자회사의 실적을 연결하는 IFRS에 따라 결산자료를 작성했기 때문이다.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 6곳은 한전 단일회계로 통합됐다.

이 기준에 따라 2010년 공기업(21곳) 부채는 당초 244조6461억원에서 290조8966억원으로 46조2505억원이나 늘어났다. 회사별로는 한전의 경우 2010년 부채가 33조3511억원에서 72조2412억원으로 38조8901억원 증가했다. 이어 △가스공사 18조9955억원→22조2945억원 △석유공사 12조3436억원→15조8710억원 △코레일 9조6580억원→12조6236억원 △수자원공사는 7조9607억원에서 8조853억원으로 각각 늘었다.

회계기준 변경 외에 지난 한 해 동안 4대강 사업 등 국책사업 추진과 공공요금 안정을 위해 전기료, 교통요금 인상을 억제하면서 늘어난 공기업 부채만 37조5485억원에 달했다.

공기업의 재무구조 악화는 부채비율에서도 확인됐다. 가스공사는 부채비율이 301%에서 364%로, 석유공사는 123%에서 193%로, 한전은 126%에서 153%로 각각 급증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해 사상 최대 이익을 냈음에도 부채비율이 461%에서 468%로 오히려 증가했다. 이들 6개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232%로 민간 기업의 퇴출 기준으로 보는 200%를 훌쩍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회계기준 변경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하지만 그 자체로 공기업 부채 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점이 드러난 것”이라며 “공기업 부채는 향후 국가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는 만큼 더욱 체계적이고 정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심기/서보미/조미현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