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급하다지만…여야 따로없는 '황당 개발' 공약
4·11 총선에 출마한 후보들의 공약에는 여당과 야당, 보수와 진보가 없었다. 지역구 후보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공약을 28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후보가 개발 공약을 내세웠다. 지역 관련 규제 완화도 약속했다.

서울에서는 지하철 노선 연장 및 지하화, 경전철 착공 등 교통 편의 확대를 공약으로 내건 후보가 많았다. 종로에 출마한 홍사덕 새누리당 후보는 지하철 신분당선을 경복궁까지 연장하겠다고 약속했고, 동대문을에 나서는 민병두 민주통합당 후보는 분당선 기점을 청량리역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용산의 진영 새누리당 후보는 신분당선이 이촌역을 경유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고, 그와 맞붙은 조순용 민주당 후보는 강변북로 지하화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여야 후보들이 같은 공약을 내거는 경우도 많았다. 중구의 정진석 새누리당 후보와 정호준 민주당 후보는 공통적으로 남산 고도 제한을 합리적으로 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구로갑에 출마한 이범래 새누리당 후보와 이인영 민주당 후보는 한목소리로 지하철 1호선 지상 구간을 지하화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18대 총선에서 뜨거운 감자였던 뉴타운에 대해서는 서울 지역구 여야 후보 대부분이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하겠다”는 수준의 공약에 그쳤다.

부산 지역 상당수 후보들은 소속 정당과 무관하게 가덕도 신공항 건설 재추진을 주요 공약으로 내놨다. 해양수산부를 부활시켜 부산에 유치하겠다는 야당 후보도 많았다. 이재균 후보(영도) 등 새누리당 일부 후보도 동참했다. 해양부는 현 정권에서 폐지됐다.

같은 당 후보들끼리 서로 엇갈리는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문대성 새누리당 후보(사하갑)는 하단~사상 간 도시철도를 조기에 착공하겠다고 한 반면 같은 당 손수조 후보(사상)는 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공사를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세종시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모두 개발 관련 공약에 초점을 맞췄다. 신진 새누리당 후보는 무상임대주택 500가구 건설과 세종시청의 조치원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이해찬 민주당 후보는 향후 10년간 4조원의 재원을 세종시에 투입하겠다고 했다. 심대평 자유선진당 후보는 조치원 민자역사 추진을 제시했다.

이 밖에 대구 지역 후보들은 대부분 K2 군공항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경기 수원 지역의 여야 후보들은 한목소리로 수원비행장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상보육 정책 확대와 고교 의무교육 실시 등은 전국 대부분 지역구에서 여야를 뛰어넘어 제시된 공약이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