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읽는 경제] 내 월급이 중간수준도 안돼? … '평균의 함정'에 빠졌네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만달러(2300만원)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하면 1년 소득이 9200만원 정도 된다는 의미다. 그러나 한국의 보통 가정이 연간 9200만원의 소득을 얻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통계로 나타난 1인당 국민소득과 개별 가계의 상황이 차이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평균의 함정'을 빼놓을 수 없다. 각종 통계에 흔히 사용되는 평균 개념은 개별 경제 현상에서 나타나는 편차를 없애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데 유용하지만 복잡한 현상을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현실을 왜곡하기도 한다.

예컨대 A라는 나라의 국민이 10명인데 이 중 6명은 연 소득이 2000만원,4명은 1억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5200만원이 된다. 1인당 국민소득 평균치는 소득이 5200만원에 못 미치는 국민이 더 많다는 사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A라는 나라처럼 항목별 격차가 클 때는 평균이 아닌 중앙값을 사용하는 것이 현실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앙값은 개별 수치를 순서대로 늘어놓았을 때 한가운데에 있는 값을 뜻한다. A라는 나라에서는 국민 10명을 소득 순서대로 늘어놓았을 때 5번째와 6번째 국민의 소득인 2000만원이 중앙값이 된다. 10명의 평균인 5200만원과는 큰 차이가 있다. 부문 및 계층 간 격차가 커지면 평균과 중앙값의 차이도 커진다. 상위층의 값이 증가하면 덩달아 평균은 상승하지만 중 · 하위층이 부진을 벗어나지 못할 경우 중간값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의 가계소득에서 평균과 중앙값의 차이가 커지고 있다.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득은 2003년 2846만원에서 2009년 3055만원으로 7.3%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중위소득(중앙값)은 2581만원에서 2664만원으로 3.2% 증가하는 데 그쳤다. 평균소득 대비 중위소득의 비율도 2003년 90.7%에서 2009년 87.2%로 낮아졌다. 김용기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전문위원은 "소득 상위 계층에 비해 중산층과 서민층의 소득 증가율이 낮았기 때문"이라며 "소득 격차가 커지면서 중산층이 얇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