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서울 삼청공원 인근에서 돈가스전문점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김숙현(41)입니다. 아는 분이 삼청동길에 빌딩을 소유하고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매장 1층을 임차해 창업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음식점을 해본 적은 없습니다만,제가 개인적으로 돈가스를 좋아해 다양하게 만들어 보고 조리법도 연구해놓은 상태여서 맛을 내는 데는 자신이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자금은 1억2000만원 정도입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각각 3000만원,120만원이어서 다른 곳에 비해 보증금과 월세가 30% 이상 저렴한 것 같습니다. 매장은 약 100㎡(30평) 규모이며 제가 주방을 책임지고 남편이 홀을 맡는 방식으로 하려고 합니다. 직원 고용은 다소 유동적입니다. 직원 1명에 아르바이트 1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삼청동은 젊은층이 많이 오고,또 돈가스가 비교적 보편적인 음식이라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만,제가 외식업을 처음 해보는 터여서 긴장이 됩니다. 이곳 삼청동도 익숙하지 않은 데다 입지도 외곽이어서 다소 걱정이 되는군요. 입지가 괜찮은지,이 지역에서 돈가스 전문점으로 성공할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A의뢰인이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삼청동은 요즘 흔한 말로 '뜨고 있는' 지역입니다. 현재 삼청동 상권에는 반경 500m 이내에만 약 250곳이 넘는 음식점이 있으며 한식 양식 카페 순으로 업소가 많은 편입니다. 이 중 주요 맛집 사이트에 등재돼 있는 유명한 맛집만 해도 100여곳이나 됩니다. 삼청동 나들이객이 주로 찾는 800m 정도의 거리에는 건물마다 음식점과 카페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경쟁이 심한 곳입니다.

이렇게 경쟁이 극심한 상황에서 의뢰인이 준비 중인 점포는 삼청동길의 가장 북쪽 끝지점에 있습니다. 외곽지역이다 보니 삼청동 나들이객의 유입이 적은 지역입니다. 맛있는 돈가스와 편안한 분위기,깔끔한 인테리어로 준비된 매장이라면 동네 상권의 경우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겠지만 삼청동에서는 그저 그런 수준일 뿐입니다. 이미 삼청동 음식점들과 카페들은 한옥에서 즐기는 양식,오랜 전통이 있는 식당,갤러리 내 레스토랑,여행자 카페 등으로 맛과 분위기에서 다양하게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웬만한 차별화 수준이 아니면 고객에게 접근하기도 어려운 상태입니다.

의뢰인의 투자비용은 보증금 3000만원,예상 인테리어 비용 5000만원,간판 500만원,시설 및 집기 1500만원 등으로 초도 상품비와 마케팅 비용,운전자금을 제외하고 1억원 수준입니다. 따라서 1억2000만원 정도이면 해당 점포에서 창업 가능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창업자 인건비와 감가상각비 등을 고려한 월 손익분기점은 약 1500만원입니다. 이 수준 이상으로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는 현재 입지에서 삼청동 나들이 고객만으로는 부족한 수준입니다.

매장 인근에 삼청공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세요. 공원 나들이객을 쉽게 매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매장의 상호는 '공원 앞 돈가스'로 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매장은 삼청공원 바로 앞에 있기 때문에 공원 앞에 매장이 있다는 지리적인 인식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이 지역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려면 공원 나들이객 외에 삼청공원과 성곽길을 이용하는 평일 고객과 인근 거주 고객층을 흡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원 산책 인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메뉴에도 변화를 줘야 합니다. 산책하기 좋은 계절에 공원에서도 즐길 수 있는 저렴하고 편한 도시락 형태의 상품을 준비하고 유기농 식재료와 허브 등을 이용한 웰빙 음료를 개발해 함께 제공하세요.

돈가스 이외의 보완 메뉴도 개발해야 합니다. 돈가스를 선호하지 않는 고객을 배려하고,보다 간편하게 야외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간식이 필요합니다. 매장에서 직접 만드는 일본식 삼각김밥인 '오니기리'를 추천합니다. 오니기리는 돈가스와 잘 어울립니다. 공원 나들이객이 소풍 간식처럼 테이크아웃 형태로 구매할 수도 있고,공원 산책을 마치고 허기가 졌을 때 식사대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돈가스에 수프가 함께 제공된다면 오니기리에는 우롱차나 국화차 등의 따끈한 차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재료에 잘 신경쓴다면 돈가스와 오니기리는 공원 분위기와 나들이 고객에게 잘 맞는 훌륭한 식사가 될 수 있습니다.

정리=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도움말=허건 행복한가게연구소장(한경자영업지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