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국은행이 환율 안정을 위해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힌 7일 원ㆍ달러 환율은 급락했다.

그러나 외환시장의 수급여건상 '달러 부족'이 여전한 만큼 환율 상승 압력이 상당기간 계속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일단은 '약발'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전주 말보다 7원50전 내린 1042원90전에 거래를 마쳤다.

별도의 달러 매도 개입이 있었는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지만 이날 환율 하락의 이유는 정부와 한은의 '공조효과'에 따른 것이란 데에는 외환시장에서도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론 외환당국의 개입 강화에 따른 경계감으로 환율이 하락세를 보일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외국계 은행의 한 외환딜러는 "지금까지 정부가 단독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한 것과 달리 한은이 가세하면서 외환당국 입장에선 두 가지 효과를 거뒀다"며 "첫째는 정부가 성장보다 물가를 중시한다는 것이 보다 분명해졌고 둘째는 외환당국이 쓸 수 있는 실탄(외환보유액)이 더 늘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정부 혼자 개입하던 것에 비해 한은까지 나서 외환보유액을 풀 경우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클 것이란 얘기다.

◆상승 압력은 여전

하지만 중장기적으론 환율 상승 압력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우세하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최근 환율상승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은 유가"라며 "유가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한 환율 상승세도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우 NH선물 금융공학실장은 "외환보유액은 무조건 쓸 수 있는 게 아니다"며 "최근 높아진 단기외채 비중을 감안하면 정부가 내다 팔 수 있는 달러가 별로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외환보유액 대비 유동외채 비율은 지난해 74.6%에서 올해 3월 말 81.6%로 높아졌다.

유동외채는 만기가 1년 미만인 외채를 뜻한다.

외환위기를 겪은 경험을 가진 한국 입장에선 이 같은 단기외채 비중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