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온실가스 50% 줄인다
일본 고베에서 열린 주요 8개국(G8) 환경회의는 26일 2050년까지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재의 절반으로 감축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폐막했다.

참가국들은 이를 위해 선진국이 장기적으로 50% 이상의 감축 목표를 제시해 개발도상국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 선진국들이 개도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과 자금을 제공해야 한다는 데도 견해를 같이했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 일본 영국 이탈리아 등 G8 국가 외에 한국 중국 인도 등 온실가스 배출이 급증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등 총 18개국과 유럽연합(EU) 환경장관이 참가했다.

회의 의장을 맡은 일본의 가모시타 이치로 환경상은 이 같은 내용의 합의사항을 의장 총괄문서로 채택,오는 7월 일본 홋카이도 도야코에서 개최되는 G8 정상회의에 보고하기로 했다.

이는 G8 정상들에게 2050년까지 온실가스 절반 감축 목표에 합의해줄 것을 촉구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들은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5∼40% 감축해야 한다는 중기 목표에 합의하는 데는 실패하는 등 구체적으로 언제까지 얼마나 온실가스를 줄일지에 대해선 의견 일치를 이루지 못했다.

EU와 이번 회의에 옵서버 자격으로 참여한 중국 인도 등은 미국과 일본에 대해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5∼40% 감축할 것을 약속하라고 촉구했으나 의장 총괄문서에 포함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또 2050년까지 50% 감축 목표도 구속력이 없는 선언적 의미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조스 델베크 EU 수석대표는 "장기 목표보다는 가까운 시기 내에 이행이 가능한 중기 목표 설정이 더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EU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 줄일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다른 나라들도 그 같은 약속을 한다면 중기 감축 목표를 30%로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반면 미국은 중국과 같은 개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먼저 약속해야 한다며 중기 목표 합의를 거부했다.

일본도 주요 선진국들이 10∼20년 내 온실가스 감축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도 구체적인 중기 목표를 설정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유엔은 2012년 시한이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협약을 2009년 말까지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국제회의를 여는 등 기후변화 협상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주요 선진국 간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 이견으로 협상이 큰 진전은 아직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세계은행은 빈국들이 청정기술을 사용하도록 지원하고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연내에 미국 일본 등과 함께 55억달러 규모의 기후변화 기금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캐서린 시에라 부총재가 25일 밝혔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