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11월 생산자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4%나 올라 2년11개월 만에 최고의 연간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며칠 전 통계청이 밝힌 지난 달 소비자물가도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3.5%나 오른 실정이고 보면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이미 성장세마저 주춤거리고 있는 우리 경제가 저성장 속에 물가상승이 이어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악순환(惡循環)에 빠져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최근의 물가가 국제유가와 함께 원자재ㆍ곡물가격,국제 해상운임 등이 크게 오르면서 무차별적인 상승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이 걱정이다.

전력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 인상에 이어 식료품과 생필품 등의 연쇄적인 가격 상승이 예고되고 있는 것이다.

밀가루값만 하더라도 한꺼번에 30%나 가격이 오르고 유제품 가격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어 서민생활에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마디로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린 형국이다.

게다가 중국의 경기과열로 인한 글로벌 인플레의 양상까지 가시화되고 있다.

결국 이 같은 물가상승이 소비심리 위축과 생산감소,투자축소로 이어져 우리 경제를 다시 침체로 몰아갈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사정이 이런데도 마땅한 대응수단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에 따른 신용경색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어느 때보다 불안한데다,우리 경제도 이미 주택경기의 급격한 위축으로 인해 소비와 투자가 냉각될 조짐을 보이는 등 발목이 잡혀 있는 상황이다.

물가급등에도 불구하고 섣불리 긴축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라는 얘기다.

따라서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당국의 보다 정교한 대책과 선제적 경제운용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우선 국제유가 및 원자재ㆍ곡물 가격 급등에 따른 물가부담을 덜기 위한 유류세와 관세율 인하 등 완충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물가급등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급선무(急先務)다.

적극적인 경기활성화 대책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규제를 풀어 기업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