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글씨안의 시공간

      어떤것이 정답인지 막막하고 앞이 깜깜할 때 이 메시지를 써봤었다.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영화 ‘인터스텔라’의 대사이다. 이런 힘있는 글씨를 쓸 때 나는 작은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단단한 소재의 크레파스도 좋지만, 안료와 오일이 풍부한 느낌의 오일파스텔이면 더 좋다. ‘그것으로 종이 위에 선을 던지고 선으로 공을 던진다.’ 아래에서 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솟구치거나 내지르는 모양으로. ‘↗’ ‘↗’ ‘↗’ ‘↗’ ‘↗’ ‘↗’ ‘↗’ ‘↗’ ‘↗’ ‘↗’ ‘↗’ 억제된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 중 하나가 쓰거나 그리는 행위이다.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S.Freud,1856-1939)는 “예술은 환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잇는 가교이다. 예술가가 그 길을 찾는 방법은 혼자서 환상 세계를 추구하는 것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창작을 통하여 환상세계를 구체화하는 것에서 그 길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창작 활동은 무의식의 영역에 해당하는 심리세계로 유배당한 마음의 갈등과 좌절감을 초래한 요소들은 외면함으로써 오는 해방감과 고통의 경감을 가능하게한다.” 고 말한 바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감각과 상상력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정한 규칙으로부터 오는 것인가? 특정한 감정으로 부터 오는 것인가? 문자는 때로 감정으로부터의 언어를 내지르기도 하고,  속삭이기도 한다. 에너지를 분출하는 듯한 육필문자에서는 보는 사람도 분명히 그 에너지를 느낀다. 이런 류의 힘있는 광고 손글씨는 젊은 소비자를 타킷으로 하는 광고에 2000